인천만 “정부 일방적 추진” 시의회·시민단체와 대책위 발족 “강행 땐 현장진입 저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사업에 대해 인천시가 정면으로 반기를 들고 나섰다.
더욱이 향후 정부가 조력발전소 건설을 강행하면 건설현장 진입을 저지하는 등 강력 대응키로 해 추진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시는 27일 시의회·시민단체·시민 대표·전문가 등과 함께 ‘인천만 조력발전 건설 대응을 위한 민관공동대책위원회’(대책위)를 발족하고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 저지를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대책위는 이날 “국토해양부 산하 한국수력원자력㈜의 인천만 조력발전 건설공사로 인해 인천 앞바다와 갯벌 등이 심각하게 훼손될 운명에 처했지만 시민 280만명의 의사와 무관하게 일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면서 “조력발전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끝날 때까지 공사를 미뤄야 한다”고 밝혔다.
신동근 시 정무부시장과 김기홍 시의회 부의장, 이세영 인천사랑운동 시민협의회장, 박종렬 인천시정참여정책위원장, 박용오 강화어민대책위원장, 고철환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등 6명이 공동위원장을 맡은 대책위는 오는 6월로 예정된 인천만 조력발전의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 반영 저지가 1차 목표다.
대책위는 범시민 서명운동을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인천만 조력발전이 인천 앞바다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 등을 알리는 홍보물 제작·배포에 나설 계획이다.
대책위는 지역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국회 토론회를 열고 국토해양부와 지식경제부 장관 면담 등을 통해 재검토와 충분한 검증·논의 과정을 거칠 것을 촉구할 방침이다.
대책위는 모인 의견 등을 정부에 전달, 정부의 일방적인 추진 중단을 이끌어 내고 조력발전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과학적으로 검증, 강화 갯벌을 보존할 수 있는 장기적인 대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이세영 공동위원장은 “조력발전은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은 물론 경제성이 희박하다는 의견도 있으나, 정부가 사업을 서두르는 이유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며 “시민들의 의사를 모아 정부로부터 유보를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