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이 100세를 바라보는 고령화 시대를 앞두고 정부가 ‘100세 시대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복지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모색하면서 퇴직한 고령자의 재취업 등 사회참여 확대와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방안 등의 분야에서 정책과제를 중점 발굴하기로 했다.
5일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3월 100세 시대 프로젝트 태스크포스(가칭)를 조직, 고령화에 따른 사회·경제 분야별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대안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재정부와 복지부, 금융위원회, 지식경제부, 고용노동부, 여성부 등 10개 부처로 구성된 TF는 고령자의 노동시장과 사회참여 제고방안, 노후소득보장 사각지대 해소방안, 노인의료비 급증에 대한 정책대응 등의 과제를 검토 중이다.
이는 2050년께 노동인구 1명이 1명의 노인을 책임져야 하는 고령화에 대비해 국가 정책의 틀 전반을 다시 짜고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정부는 현재 경제인문사회연구회에 관련 연구용역을 의뢰했으며, 경제인문사회연구회는 1차 용역보고서 발표 시기에 즈음해 이달 말 공청회 형식의 세미나도 개최할 예정이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