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전자급식카드제 앞두고 학부모 반발 곤혹

市, 7월부터 시행… “전자급식카드제는 반인권적 정책”

인천시가 오는 7월부터 지역아동센터(센터)를 통해 전자급식카드제를 시행할 계획인 가운데, 센터 시설장과 학부모들은 아동복지시설이 식당으로 전락할 것을 우려하는데다, 아동에 대한 반인권적 정책이라며 반발 강도를 높일 것으로 보여 진통이 예고되고 있다.

 

더욱이 시는 급식지원 대상 아동을 센터를 이용하는 일반 아동으로까지 확대하겠다는 유인책을 내놓고 있어 수용여부를 둘러싸고 자칫 지역아동센터들 간 갈등도 우려된다.

 

22일 시 및 센터들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09년부터 지역 내 결식아동을 대상으로 전자급식카드를 지급해오던 것을 오는 7월부터는 지역아동센터에도 확대, 전면 시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전자급식카드가 단체급식소를 이용하는 아동 출결을 파악하고 급식현황을 정확하게 알아 예산집행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내세우고 있다.

 

이 때문에 센터들의 반대에도 오는 7월부터는 급식예산과 수혜대상 아동을 차상위계층 이외에도 일반아동에까지 확대, 센터들의 참여를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센터들은 전자급식카드 반대 입장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다.

 

전자급식카드가 매우 비교육적이고 아동인권을 침해하는 여지가 있으며 센터의 급식과 운영 등을 위축시킬 염려가 크다는 것이다.

 

아동 인권 침해는 학부모들도 크게 염려하는 대목으로 자녀들이 센터를 이용하는 것도 눈치가 보이는데 전자카드를 사용하면 수치심이나 굴욕감을 더 느낄 것이라는 지적이다.

 

센터 입장에서도 급식은 단순히 식사를 제공하는 게 아니라 통합교육과 복지활동 틀 속에서 진행되는데, 아이들이 전자급식카드로 일반 식당에서 식사하겠다고 하면 센터의 교육·복지·보육시스템 자체가 흐트러질 수도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개별급식이 이뤄지면 일괄급식과 달리 급식인원 산출이 어려워 운영이 어려워진다.

 

황미숙‘인천 지역아동센터 운영지원 정상화를 위한 범시민 대책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은 “전자급식카드제는 행정 편의만 내세운 반인권적 정책으로 이미 부작용이 드러나 서울시 등 일부 지역에서 포기했다”고 말했다.  박혜숙기자 phs@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