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캠프 머서’ 오늘부터 현장조사

軍, 환경조사 TF 첫 회의

‘화학물질 매립’ 의혹이 제기된 부천시 오정동 옛 미군기지 ‘캠프 머서’에 대해 민관군 공동조사단이 31일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또 한미조사단은 캠프 캐럴의 조사가 끝나는 대로 인천 부평구의 캠프 마켓에 대한 조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반환 미군기지 환경조사 태스크포스(TF)’는 30일 국방부에서 첫 회의를 열고 “공동조사단이 내일 오전 캠프 머서가 있던 1121부대에서 1차 회의를 열어 세부적인 조사계획을 수립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민관군 합동조사단은 31일 현장에서 첫 회의를 열고 구체적인 조사방식과 일정 등을 논의하기로 했으며, 미군 캠프 머서 부지에 대한 환경조사 결과가 6월 중순에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반환 미군기지 환경조사 태스크포스(TF)’ 팀장을 맡고 있는 김인호 국방부 군사시설기획관은 “미군기지에 대한 환경오염 조사는 기초조사와 개황조사, 정밀조사 등 3단계 절차를 거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기획관은 “먼저 매몰 예상지역 내 화학물질 존재 여부와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1주일간 물리탐사를 포함한 기초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TF는 김인호 국방부 군사시설기획관을 위원장으로 육ㆍ해ㆍ공군 환경과장 등 8명의 군 관계자로 구성됐다. TF는 2003년 5월 이전에 반환된 미군 기지 85곳에 대한 환경조사를 총괄한다. 이후 반환된 기지 48곳은 개정된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에 따라 환경조사를 마쳐 일단 검토대상에서 제외했다.

 

TF는 논란이 된 캠프 머서 부지 조사를 위해 군 관계자와 대학교수, 환경단체, 지역주민 등 13명으로 구성된 민관군 공동조사단을 가동키로 했다.

 

기초-개황-정밀조사 3단계로

 

화학물질 존재·범위 등 확인

 

합동조사단에 민간인도 참여

 

조사단은 1주일간 장기근무 부사관, 군무원 등을 상대로 면접조사와 기초조사를 진행하고, 이후 2주일간 매몰 예상지역에 대한 시추와 시료 채취, 주변지역 토양 지하수 분석 등 개황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개황조사를 통해 오염이 확인되면 3차로 세부적인 정밀조사를 시행하게 된다.

 

또한 탄성파 검사를 통해 지하 어느 지점에, 어느 정도 폭과 깊이로 이물질이 묻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국방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농어촌공사가 지하 탐사를 맡는다.

 

국방부는 미군측에 과거 부대 건물 배치도 등 관련 자료를 요청한 상태다. 캠프 머서 부지에는 현재 육군 수도군단 1121 공병부대가 주둔해 있다.

 

이와 함께 부천시는 이날 오정구 옛 미군기지 ‘캠프 머서’의 주변 지하수를 채수하고 합동조사단에 민간인을 참여시키기로 했다.

 

시는 우선 지하수의 오염 여부를 가리기 위해 지하수 관리공 9곳 중 2곳에서 40ℓ씩 시료를 채수,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수질검사를 의뢰했으며 다이옥신, 트리클로로에틸렌(TCE),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CE) 등의 항목을 검사하는데 30일 정도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 시는 ‘캠프 머서’에 대한 정부합동조사단에 민간인을 참여시키기로 했다.

 

시는 이날 오후 오정동·원종2동 주민자치센터에서 김만수 시장과 이필구 도의원, 주민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민설명회를 열었다.   강해인·김성훈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