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주민들 신속한 조사 요구… 28곳 이달 중순께 착수
경기도내 반환되지 않은 미군기지 주변지역 지하수, 토양에 대한 다이옥신 조사가 실시된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은 5일 “미 반환기지 주변지역 다이옥신 오염 여부 조사를 정부의 방침에 따를 예정이었으나 신속한 조사를 요구하는 기지주변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라 독자적으로 다이옥신 오염 여부를 정밀 조사한다”고 밝혔다.
또 기지 내부의 경우 SOFA 규정상 미군 협의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지자체 독자적으로 가능한 기지주변을 우선 조사키로 했다.
이는 고엽제 파문이 불거진 이후 고엽제 사용이 확인된 비무장지대(DMZ)를 포함하고 미군기지가 밀집한 경기지역에 대한 첫 조사로, 다이옥신 성분이 확인될 경우 기지내 오염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이어서 그 결과가 주목된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부천 캠프 머서에 대한 다이옥신 분석이 끝난 직후인 이달 중순께부터 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조사대상은 미군이 사용 중인 도내 기지 28곳 주변이다. 지역을 보면 의정부·동두천·평택 각 4곳, 포천·연천 각 3곳, 성남 2곳, 수원·파주·하남·양평·용인·의왕·가평·양주 각 1곳이다.
도내 미군기지는 총 51곳으로, 이중 23곳은 반환이 끝났고 28곳은 앞으로 반환되거나 미군이 계속 사용한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3일 시·군 환경담당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고 조사지점 선정과 시료채취 방법 등에 대한 지침을 전달했다.
한편 국방부는 경기도의 반환기지 다이옥신 조사요청에 대해 ‘지난 2006년 한·미 공동으로 반환 미군기지에 대해 환경오염조사 당시 미 측이 제공한 기본 환경정보(BEI)와 전문조사기관의 환경조사 결과 고엽제 의심 물질이 발견된 바 없다’며 조사불가 방침을 통보해 왔다
북부취재본부=김동일기자 53520@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