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800조 돌파 전년 동기比 8.4%↑
가계부채 상환 능력이 사상 최악 수준으로 떨어졌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가계신용은 801조4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4% 증가했다. 금융기관 가계대출이 약 752조원, 신용카드나 할부 등 판매신용이 약 49조원에 달한다.
한 나라 국민이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하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6% 증가한 287조6천억원을 기록했다.
처분소득 대비 가계신용 배율은 2.79배로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 1분기 2.83배 이후 2년 만에 가장 높았다.
이는 금융기관 등에 지고 있는 빚이 소득의 2.79배란 의미로 이 배율이 높을 수록 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그만큼 낮다는 것을 의미다.
배율은 2002년 1분기 2.22배로 처음 2배수를 넘은 후 2003년 1분기 2.47배, 2005년 1분기 2.39배, 2007년 1분기 2.63배, 2008년 1분기 2.64배, 2009년 1분기 2.83배, 2010년 1분기 2.76배 등 높아지는 추세다.
이처럼 가계의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가운데 대출 금리는 계속 상승하고 있어 무더기 가계부도 사태도 우려되고 있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국민은행이 양도성예금증서(CD) 연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연 5.27~6.27%로 전주보다 0.1%p 올리는 등 약 30개월래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