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4일 김준규 검찰총장이 검·경 수사권조정 합의안에 반발해 사퇴한 데 대해 부적절한 처신이라며 유감을 표시했다.
한나라당 안형환 대변인은 “한 달 남은 임기를 순조롭게 마무리하고 좋은 모습으로 검찰을 떠났으면 했는데 안타깝다”면서 “총장의 사퇴가 사법 개혁안에 대해 검찰의 반발로 보이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밝혔다.
안 대변인은 “사법 개혁안이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를 통과한 만큼 이제 검찰과 경찰 모두 이를 바탕으로 더 낮은 자세로 사법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이용섭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국민의 대표인 국회에서 검·경 수사권 조정 문제가 결론났는데도 조직을 추스려야 하는 수장이 뜻을 굽히지 않는 것은 매우 유감”이라면서 “국민 눈에는 몽니로밖에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자유선진당 임영호 대변인은 “검찰총장이 나라 전체를 염려하기보다는 조직의 수장으로서의 입장만 강조하며 사퇴한 것은 국민을 무시한 행동”이라고 말했다. 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은 “정치검찰 집단이 제 밥그릇을 챙기려는 대국민 협박이자 국회에 대한 선전포고”라고 지적했고, 진보신당 박은지 부대변인은 “검찰이 마치 침해당할 수 없는 성역처럼 고집을 피우는 것은 이해될 수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김준규 검찰총장의 사표 제출에 철저한 무반응으로 일관했다.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김두우 홍보수석과 함께 보고했지만 이 대통령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표정 변화도 없었다”면서 “이 대통령은 집중호우에 대해 관계 부처에 연락해 추가 피해가 없도록 철저히 대비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김 총장의 사표 수리 여부에 대해 “이 대통령이 귀국하면 이귀남 법무부 장관이 보고할 것이고 거기서 이야기를 할 것”이라며 “현재로서는 이 대통령은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24시간 진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정황으로 볼 때 이 대통령이 사표를 당장 수리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프리카 3개국 순방후 귀국하는 11일에 사표를 수리하거나 이를 뒤로 미룰 수도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강해인·김재민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