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야권 대통합 논의 ‘통합특위연석회의’ 제안

민주당이 통합특위연석회의를 통해 야권 대통합 논의를 공식적으로 시작할 것을 제안하고 나섰다.

 

민주당 이인영 야권통합위원장은 10일 “민주당은 이제 수면 위에서 대통합 논의를 공식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며 “제 정당에 구성돼 있는 통합특위 위원장들이 모이는 통합특위연석회의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연석회의에서) 10월 안에 통합의 원칙과 절차를 법적으로 마무리해야 내년 1~2월 총선을 본격적으로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 진보정당을 포함해 건강한 시민사회세력, 개별 인사 등까지 포괄하는 범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손학규 대표가 말했듯이 야권 대통합의 원칙은 화이부동과 부동존이”라며 “모든 정당은 하나의 정당으로 결집하되 고유 정체성을 보장받고 활동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이를 위해 정당의 성격은 연합정당이 돼야 한다”며 “민주당은 정파등록제와 정파명부식 등록제 등 각 세력의 정체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놓고 토론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오는 13일 통합특위와 민주정책연구원이 공동으로 토론회를 개최해 통합 방안 마련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하지만 야4당간 통합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민주당은 야4당을 한데 묶는 ‘대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나머지 3당은 새로운 진보정당 창당을 위한 ‘소통합’을 우선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오는 9월 추석 이전 통합진보정당 창당을 목표로 하는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각각 수임기관(협상기구)을 발족, 통합 실무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민노당은 다음달 당대회를 열어 통합진보정당의 당명과 강령, 당헌 등을 포함한 합의안을 마련키로 했다. ¶진보신당은 수임기관 내에 13인으로 구성된 상임위원회와 당원사업단, 전략협상단, 대외협력단을 두도록 하는 등 조직 체계와 인선을 완료했다. ¶그러나 내부를 들여다보면 진보신당이 통합 반대 세력에 진통을 겪고 있는데다 민노당-참여당 간 ‘선(先)통합설’도 나돌아 통합 동력이 분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참여당은 통합진보정당 동참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여당은 이날 금천구청에서 전국중앙위원회(대의원대회)를 열어 유시민 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통합추진기구를 발족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