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6~7개 정비 사업장 시공사 선정 ‘초읽기’ 시흥, 대야·신천 등 ‘용적률↑’ 건설사들 눈독
수도권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건설경기 불황 등으로 늦어지는 가운데 용적률 상향 조정 등으로 사업성이 개선된 광명과 시흥 일대 도시정비사업에 탄력이 붙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 도내 재건축, 재개발 업계에 따르면 광명지역은 내달 17일 입찰제안 접수를 앞둔 16구역을 비롯해 6~7개 도시정비사업장이 시공사 선정에 나설 전망이다.
우선 주민동의율 75% 확보를 목전에 둔 11구역의 조합설립인가가 임박한 가운데, 10구역과 9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장인 23C 구역도 동의서 징구가 한창이다.
이들 구역별로 이미 70%에 육박하는 동의율을 보이고 있는 만큼, 빠르면 10월 조합설립인가를 받아 연말께 시공사 선정입찰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사업속도가 가장 빠른 11구역의 경우에는 총사업비 5천억원, 4천가구 이상을 짓는 대규모 사업으로 건설업체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9구역과 10구역도 예상사업비만 각각 2천억원(1천300여 가구)과 1천300억원(870여 가구) 규모에 달해 업계의 수주전이 예상된다.
앞서 지난 4월 입찰을 실시한 14구역(1천900억원, 1천여 가구)은 대우건설과 한화건설 컨소시엄이 시공사로 선정됐다.
시흥시 일대 도시정비사업장도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시공사 선정시기를 예측하긴 이르지만, 최근 경기도가 시내 대야·신천 뉴타운 지구 각 사업구역별 용적률을 13~22%까지 상향조정 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도는 또한 기존 지구내 평균 35% 수준인 소형주택(60㎡ 이하) 비중을 53.5%로 올릴 수 있도록 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될만한 도시정비사업에 대해서는 대야·신천지구와 같이 규제완화를 통해 사업성을 높여야 한다”면서 “이렇게 하면 주민들의 부담도 줄이고 시공사의 참여도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lshg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