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론 기피 서민대출 ‘가뭄’

‘대손충당금 확대 방침’에 제2금융권  지나친 몸사리기

“저희 금고는 자금이 없어서 햇살론을 취급하지 않습니다”

 

금감원이 2금융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확대방안을 내놓자 새마을금고, 신협 등이 서민대출상품인 햇살론 취급을 꺼리면서 서민대출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채무 불이행을 대비해 마련하는 대손충당금이 현행 0.5%에서 최대 10%로 확대돼 2금융권의 부담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2일 도내 제2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대손충당금을 현행 0.5%에서 1%로 2배 늘리고 3개월 이상 연체된 ‘요주의’ 여신은 10%로 10배 상향시키기로 하고 이를 2012년까지 단계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또 건전성 분류 기준 역시 상향 조정해 3개월 미만 연체 채권 정상여신은 1개월 미만 연체로, 3~6개월 연체 채권 요주의는 1~3개월 미만 연체로, 6개월 이상 연체인 고정은 3개월 이상 연체로 각각 강화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같은 정책에 2금융권은 경영 악화를 우려, 서민대출을 외면하는 등 몸사리기에 나서고 있다.

 

회사원인 A씨(35)는 최근 햇살론 대출을 위해 수원 영통구의 한 새마을금고를 방문했다가 자금이 없어 햇살론 대출을 더 이상 하지 않는다는 답변만 듣고 돌아와야 했다.

 

자영업자인 B씨(33) 역시 수원 지역 한 신협을 방문해 햇살론 대출을 요청했지만 이미 올해초부터 햇살론을 취급하지 않는다는 얘기를 듣고 발길을 되돌릴 수 밖에 없었다.

 

이같은 2금융권의 몸사리기에 돈을 빌릴 곳이 없는 저신용자의 피해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당초 신용등급이 7~10등급의 저신용자를 위한 상품이지만 실제로는 대출상담의 기회조차 사라져 신용불량자나 고금리 사채의 늪에 빠져들 위기에 처한 것이다.

 

여기에 대손충당금의 확대는 대출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농후해 서민부담의 증가는 정해진 수순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도내 2금융권 한 관계자는 “정부가 주도해 진행된 햇살론 대출을 이제와서 부실자산으로 취급하며 대손충당금을 높여 대출을 어렵게 하고 있다”며 “이같은 정책은 결국 대출 제한이나 대출금리 인상으로 이어져 서민에게 부담이 전가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유진상기자 dharma@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