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도시형생활주택’ 임대료·분양가 너무 높다

월세 60만원…서민 ‘그림의 떡’

정부가 도시서민을 위해 건축을 권장하는 ‘도시형생활주택’이 높은 임대료와 분양가로 무늬만 서민용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15일 도내 업계에 따르면 현재 분양 중인 경기도내 도시형생활주택의 임대료는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50~60만원 사이이며, 분양가 역시 32㎡ 안팎 규모가 평균 1억원 이상을 호가하고 있다.

 

이같은 임대가격은 인근의 원룸 보다도 10~15만원 가량 높을뿐만 아니라 다소 작은 평형대의 원룸 전세가격보다도 두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1~2인가구를 위한 서민 주택이라는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다.

 

지난 6월부터 분양을 시작한 화성동탄의 S도시형주택 32㎡형 주택은 월세 보증금이 500만원, 임대료는 50~60만원 선이다. 분양가 역시 층에 따라 1억원~1억1천만원 사이에 형성돼 있다.

 

성남 경원대 앞에서 분양 중인 O도시형주택 39㎡형도 보증금 1천만원에 월세는 60만원을 줘야하며 분양가는 1억원 이상을 호가한다.

 

경원대 주변의 원룸 월세가 35~40만원임을 감안하면 30% 이상 높은 월세 수준이다.

 

오는 2013년 입주예정인 의정부 M도시형주택도 18㎡형 297가구를 분양 중이다. 분양가는 9천500만원에서 1억원대이며, 임대가는 50~60만원선이다.

 

수원 아주대 삼거리 인근에 14층, 148가구 규모로 건축 중인 I도시형주택 역시 24~33㎡형 내외 주택이 1억원~1억500만원 선에서 분양될 예정이며, 월세는 보증금 500에 50만원 이상에서 책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이같이 도시형생활주택 가격이 높은 이유에 대해 아파트 형태로 지어져 일반 단독주택이나 원룸에 비해 방범 등 관리가 잘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회사원 A씨(35)는 “월세가 50만원 이상이고 원룸보다도 비싼 주택이 어떻게 서민형 주택이라 할 수 있겠냐”며 “도시형 생활주택은 건축 규제를 완화해 건설사들 배만 불리는 꼴”이라고 말했다.

 

유진상기자 dharma@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