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필요한 선정위 개최… 학교장 등 특정교과서 권유
인천지역 일부 학교가 불필요하게 보건교과서 선정위원회를 열어 특정교과서를 권유하는 등 보건교과서 선정 절차가 투명하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보건교육포럼 인천지부와 전경희 중구의원이 지역 내 초·중·고교 보건교사 173명을 대상으로 ‘보건교과서 선정 실태’를 조사, 27일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건수업이 초등에선 100% 이뤄지고 있는데 반해 중학교는 42.9%, 고교는 14.0%로 나타나 전체 120개교에 불과했다.
또 보건교과서 선정 절차가 투명하지 못하다는 조사결과도 내놓았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내용, 저자의 변경 없이 출판사만 변경됐을 때 새로 교과서 선정위원회를 열지 않아도 된다는 지침에도 불구, 120개 교 중 44.2%가 보건교과서 선정을 위한 학교운영위원회를 개최했고 이 중 26개 교(21.7%)가 학교장 등으로부터 특정 교과서 선정을 권유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권유받은 교과서 출판사는 D사, C사, J사 순으로 이들 출판사의 보건교과서는 현재도 지역 내 1~3위를 점유하며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이와 함께 보건교사가 교과서 선정 심의회에 참석해 의견을 내지 못한 경우가 13.2%, 보건교사의 의견대로 최종 선정되지 않은 경우도 18.9%에 달했다.
이는 보건교과서 선정 시 교장·교감 등 학교관리자나 학부모가 대부분인 교과서 심의 위원의 의견이 많이 반영돼 전문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경희 의원은 “장학사와 학교장 등의 지시로 불필요하게 교과서 선정 재심의가 시행되고 이중 일부 학교는 특정교과서 선정을 권유받음으로써 보건교과서 출판사 점유율 변경이 예상된다”며 “교과서 선정의 투명성 확보와 함께 보건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혜숙기자 phs@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