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온스당 2천불 돌파 전망…안전자산 선호도 ‘부동산→金’
국내ㆍ외 전문가들이 국제 금 시세가 내년에도 강세를 띨 것으로 전망하면서 금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올들어 글로벌 경기 침체와 함께 잠시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했던 금이 다시 가격 오름세를 타면서 안전자산 명성을 회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금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를 넘기는 등 10년 이상 꾸준히 상승한 유일한 자산으로 내년에는 1온스당 2천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 시세는 지난 2009년부터 약 3년 동안 1온스당 800~1천700달러 수준으로 급격히 올랐고, 시간이 지날수록 금 수요는 늘고 있지만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금값이 고공행진 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특히 이같은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지난 6~7월 금 25t을 매입한 이후 약 4개월 만에 투자 다변화를 통해 위험 대비 수익을 늘리기 위해 지난달 금 15t을 추가로 사들이면서 금이 안전자산으로서 부각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한은 관계자는 “유럽 재정위기에 따라 안전자산인 금을 산 것은 아니다”며 “다만 상당수 투자자가 금이 안전자산으로서의 역할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과거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던 부동산을 선호했던 투자자들은 유일한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으로 투자 시선을 꾸준히 돌리고있다.
유럽 재정위기와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로 안전자산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부동산은 가치 하락으로 자산을 불릴 기회가 줄고 세금 폭탄이 우려됨에 따라 금을 대체할만한 안전자산이 없다는 것이 투자자들의 설명이다.
이범영 대신증권 수원지점 차장은 “올해 금 장중고가는 9월 1천920달러로 3년 동안 금값이 상당히 많이 올랐다”며 “경기가 불안하기 때문에 현금으로 갖고 있는 것 보다 수익성 등을 고려했을 때 금을 가지고 있는 것이 편하기 때문에 안전자산으로 꼽히고 있다”고 밝혔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