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수요 확대화 콘텐츠 질적 성장, 유통체계 변화 등으로 콘텐츠산업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콘텐츠산업의 세계시장 규모도 2006년부터 매년 평균 3.1% 증가하는 등 각국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콘테츠 산업에 대한 글로벌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세계 각국의 통신사업자, 미디어업체, 콘텐츠 제공업체 등이 중국에 진출하거나 진출 가능성을 엿보고 있다.
한국의 콘텐츠산업은 수용시장 확대 뿐만 아니라 고부가치 산업으로 인식됐고 <대장금>, <리니지>, <뽀로로> 등의 해외 수출이 이어지면서 한국 콘텐츠 산업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 디지털콘텐츠 시장 환경 분석 등을 토대로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2012년 인터넷 보급률이 44.8%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는 중국 콘텐츠 시장을 공략한다면 우수한 한국 콘텐츠를 알리는 동시에 수익을 올릴 수 있는 효과가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장 잠재성 가득한 중국 콘텐츠 시장
중국은 경제 성장과 함께 통신, 방송 네트워크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디지털콘텐츠 시장 역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가 지난 2006년 ‘2020년 중장기 계획’ 발표 당시 디지털콘텐츠 응용개발기술을 중점 연구 개발대상 중 하나로 확정하고 디지털콘텐츠 산업을 신흥 문화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009년에는 문화산업의 빠른 발전, 문화산업의 구조조정, 일자리창출 등을 위한 ‘문화산업진흥계획’이 중국 국무원상무위원회에서 통과되면서 콘텐츠에 대한 중요성이 확산됐다.
이와 함께 중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함께 이뤄지면서 디지털콘텐츠 시장규모가 2006~2010년 연평균 32.3%의 증가율을 보이며, 2006년(850억위안)보다 4배 가량 뛰어넘어 지난해 3천421억위안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같은 기간 GDP 성장률과 비교했을 때 약 10%p 높은 것으로 전통산업 뿐만 아니라 중국의 유망산업인 전자정보산업 등의 발전 속도를 넘어선 수치다.
현재 중국의 디지털컨텐츠 산업은 디지털 게임, 디지털 애니메이션, 디지털 음악, 인터넷 교육을 중심으로 산업구도가 형성돼있으며 최근 떠오르고 있는 모바일 콘텐츠는 3G 도입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다.
중국 리서치업체 Sinotes 측은 “향후 디지털 정보기술 기반의 정보 콘텐츠와 서비스 산업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산업이 융합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점차 확대되는 한중 콘텐츠 교역
현재 한국과 중국의 산업 성장을 이끌고 있는 콘텐츠산업 분야에서 양국 간의 교역이 빠르게 늘어가고 있다.
양국 간의 콘텐츠산업 교역규모는 2006~2009년 연평균 24.9%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2009년에는 2006년보다 1.9배 가량 늘어난 7억1천190만 달러에 달하는 컨텐츠를 수출ㆍ입했다.
이 중 우리나라는 같은 기간동안 연평균 35.5%의 높은 수출 증가율을 보여 콘텐츠산업의 수출특화 상황을 보여줬다.
한국이 중국에 수출하는 콘텐츠산업 중에서는 게임, 출판, 음악 등의 순으로 인기도가 높은 반면 우리나라가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컨텐츠 분야에서는 출판, 영화 등의 비중이 높았다.
특히 2억5천만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네티즌을 보유한 중국 온라인게임 시장에서 한국 온라인게임 ???丁?(카트라이더), ?舞?(오디션) 등이 중국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한국게임 산업이 중국 콘텐츠 분야에서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콘텐츠진흥원과 창저우(常州)시가 한중 게임산업 협력을 위해 창저우 창의산업기지와 한중 게임인재 양성기지 교육센터를 개소하고 게임 산업과 문화진흥을 위해 함께 힘쓰고 있다.
창저우 창의산업기지는 중국 문화부가 유일하게 지정한 국가 디지털 문화산업 시범기지로 한국의 게임 교육과정 이수와 함께 한국 게임업체를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어 중국의 인터넷 인프라가 완전히 형성되면 한국이 점유할 수 있는 중국의 디지털콘텐츠 시장도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韓 콘텐츠산업, 중국시장 이렇게 사로잡아라
중국은 지난 20년간의 경제성장을 통해 세계 2위 경재대국으로 발돋움한 데 이어 창조산업 육성을 통해 제조의 중국에서 창조의 중국으로서의 입지를 굳혀가고 있다.
현재 중국의 콘텐츠산업은 미국, 유럽 등 문화 선진국보다 급성장해 콘텐츠 세계시장의 5.5%를 차지할만큼 잠재력이 가득한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콘텐츠산업에 대한 세계 각국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나라별로 온라인, 모바일 등 각 분야에서 중국인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 중이다.
한국이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을 함께 가지고 있는 중국의 콘텐츠산업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소비추세, 고객의 선호도, 중국시장 가치사슬 등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디지털콘텐츠를 개발ㆍ연구해야 한다.
더욱이 중국 콘텐츠산업에는 규제부서의 다원화와 진입 규제가 높은 장벽이 있는 만큼 이를 무너뜨릴 수 있도록 기업 전략에 맞춰 합작ㆍ합자투자 또는 인수&합병 등의 방식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박영일 한국콘텐츠진흥원 정책연구팀 차장은 “”며 “”고 말했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