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도 한국폴리텍Ⅱ대학 인천캠퍼스 학장 직무대리(교학처장)
“한국폴리텍Ⅱ대학은 학생들의 꿈에 날개를 달아주는 곳이라고 자부합니다.”
한국폴리텍Ⅱ대학 인천캠퍼스 학장 직무대리를 맡은 장영도 교학처장은 “옛날처럼 손에 기름때 묻혀가면서 기술을 배우던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며 “첨단분야에서도 앞서가는 기술인재를 양성해 우리나라 산업의 뿌리와 같은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2012학년도 신입생 모집에서도 인기가 높았다고 들었다.
최근 수시 2차 합격생을 발표했다. 수시 1차 모집 때는 평균 경쟁률이 10대 1까지 올라 역대 최고 경쟁률을 갱신했다. 수시 2차 모집 때도 비슷한 경쟁률을 보였다.
취업률이 높고 실무경험까지 쌓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일찌감치 전문직종을 선택한 학생들이 한국폴리텍Ⅱ대학으로 모여드는 것 같다.
이미 2·4년제 대학을 마친 고학력자들이 다시 한국폴리텍Ⅱ대학 문을 두드리는 경우도 늘고 있어 명실상부 산업학사 학위 분야의 대표 대학으로 자리 잡았다고 자부한다.
하지만, 반대로 그만큼 청년 취업난이 심각하다는 뜻인 것 같아 마냥 반갑지만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모든 졸업생이 한국폴리텍Ⅱ대학에서 자신의 적성과 뜻에 맞는 미래를 찾을 수 있도록 더 탄탄히 실력을 쌓아가는 대학이 되겠다.
-우수기업과의 연결고리가 탄탄하다. 비결이 무엇인가.
기술이 발전하고 산업이 성장하는 속도를 따라가는 것이 버거운 적도 있었다. 대학은 변하지 않는데 사회는 저만치 앞서가니 당연한 일이었다.
교수들도 앉아 있으면 안 된다는 위기의식이 커지면서 과감하게 혁신했다. 교수들에게 직접 전공관련 기업들을 전담관리하도록 하고 산업체를 돌면서 연구하고 신기술을 익히도록 했다.
현장과 직접 부딪치니 기업들이 어떤 인재를 필요로 하는지 알게 됐고 학생들은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실무능력을 바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게 돼 시너지 효과가 기대 이상이었다. 한국폴리텍Ⅱ대학이라는 이름만으로도 학생들을 검증할 수 있으니 기업들의 선호도가 높아졌다.
-한국폴리텍Ⅱ대학 학생들 자랑을 한다면.
기술이야 대학이 아니더라도 배울 수 있는 곳은 많다. 하지만, 한국폴리텍Ⅱ대학 학생들은 대학에서 산업현장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누구보다 빠르게 적응하고 앞서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직접 현장에서 실무를 경험하고 학교에서 배운 것들을 활용하면서 틀에 갇혀 있는 교육이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기 때문이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