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크카드 소득공제 비율 늘어, 이용자 늘어날 전망

신용카드보다 체크카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더욱이 체크카드는 소득공제 비율이 현재 25%에서 내년에 30%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체크카드 이용자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매달 체크카드 사용액을 설정해 필요한 혜택에 따라 2~3개씩 체크카드를 번갈아 쓰면 가계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하고 있다.

 

하나SK카드의 MEGA 캐시백 체크카드는 쓴 만큼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2만원을 결제할 경우 사용 금액의 1%에 해당하는 현금 200원을 캐시백(월 최대 10만원)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자동차·가전·결혼·치과 등 4개 분야에서 결제할 경우엔 월 캐시백 한도는 제한이 없다.

 

하나SK카드 관계자는 “번거롭게 포인트를 쌓고, 포인트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을 찾을 필요가 없는 장점 때문에 벌써 80만장 넘게 팔려나갔다”고 말했다.

 

KB국민카드의 노리체크카드는 대중교통 할인혜택과 통신비 자동이체 혜택을 담은 알짜 카드다.

 

전국 버스와 지하철에서 10% 할인을 받을 수 있고, 월 최대 2천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또 휴대폰 이동통신 요금도 할인받을 수 있다. SKT·KT·U+ 등 3개 이동통신사에서 5만원 이상 요금을 계좌에서 자동이체할 경우 매달 2500원을 정액 할인해준다.

 

전기·수도·가스 요금을 절약하면 포인트나 돈으로 받을 수 있는 체크카드도 나와 있다.

 

우리V그린체크카드는 에코마일리지 제도에 가입한 회원을 대상으로 친환경 마일리지인 ‘에코머니’를 적립해준다. 10% 이상 절약하면 최대 10만 에코머니를 적립해준다.

 

서울시에 거주하지 않으면 탄소포인트 홈페이지(www.cpoint.or.kr), 서울 시민이라면 서울시에서 만든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ecomileage.seoul.go.kr)에 가입해 전기·수도·가스 고지서상 고객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에코머니를 2만점 이상 보유하고 있으면 현금 캐시백으로 돌려받을 수 있으며, 내년 3월부터는 적금 상품에 저축도 가능하다. 시·군·구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전국 150곳의 문화·레저시설을 이용할 때 최대 50%까지 할인해주는 혜택도 있다.

 

외환카드의 에듀큐 체크카드를 이용하면 유치원 및 학원(보습·입시·외국어 등)의 결제금액에 대해 최대 5% 포인트를 적립해준다.

 

또한 인터넷 서점 이용 시 월 10% 포인트 적립 등 월 최대 3천점까지 적립해준다.

 

외환카드 관계자는 “주요 인터넷 강의도 5~15%를 할인해줘 값싼 가격으로 자녀들에게 좋은 교육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신한카드의 S-More 체크카드는 현대오일뱅크와 S-OIL 주유소에서 주유 시 리터당 60원을 적립해준다. 정유사별로 월 2회, 이용금액은 20만원까지 사용 가능하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