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北감시 강화… 대한민국은 ‘비상 경계태세’

軍·통일부·경찰 경계 강화, 도내 시·군들도 비상근무 돌입

정부는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으로 한미공조를 강화하고 통일·외교부 대책반을 설치하는 등 비상태세를 갖췄다. 또 경찰과 금융당국, 각 지자체까지 일제히 비상근무태세에 들어가 사실상 대한민국 전역이 비상사태로 돌입했다.

 

■ 군

 

군당국은 19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에 따라 전군 비상경계태세 2급을 발령했다. 군은 전방지역에 RF-4 대북 정찰기 등 정찰ㆍ감시자산을 증강해 대북감시태세를 강화하고 있으며 한미연합사와 북한군의 동향을 자세히 감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합동참모본부는 주한미군 측과 협의해 U-2 고공정찰기와 KH-11 첩보위성의 대북 정찰횟수를 증강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정보분석 요원을 대거 증원해 북한의 도발 징후 파악과 분석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 통일·외교부

 

통일부는 비상대책반과 상황실을 가동 중이다. 외교부는 4강 현지 공관 대사로 하여금 해당국 정부와의 정보교환과 협조를 강화하도록 특별지시했다. 한편, 오는 22일로 예상됐던 북미 3차대화 개최는 오는 29일까지 김 위원장에 대한 애도기간이어서 추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경찰

 

경찰청은 19일 낮 12시30분부터 모든 지휘관과 참모에게 정 위치 근무를 지시하는 등 경계강화 비상근무를 지시했다. 일선 경찰에도 비상소집 연락망을 유지하고 출동 태세를 갖춰야 한다. 112 타격대, 전경대 등 상설부대 출동태세 확립도 강화했다. 경찰은 이와 함께 인접 군부대와 협조해 국가 중요시설에 대한 경계 태세도 강화키로 했다.

 

■ 금융당국 비상

 

금융당국도 오늘 하루 숨 가쁘게 움직였다. 기재부는 당분간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 원자재 수급 상황, 생필품 수급 상황, 무역 현황, 외신 반응 등을 24시간 점검할 계획이다. 금융위와 금감원은 ‘비상금융상황 대응팀’과 ‘비상금융 통합상황실’을 꾸려 시장 상황을 24시간 살피면서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곧바로 강력히 대응하기로 했다.

 

■ 도내 시·군들도 비상태세 돌입

 

경기도는 이날 12시40분을 기해 공무원 비상근무 4호를 발령했다. 도는 비상근무 발령에 따라 도청 각 실·국·사업소와 도내 31개 시·군에 실·과·팀별로 필수인력 1명 이상을 24시간 근무하도록 조치했다. 또 근무시간 무단이석과 외출도 금지하고, 청사 등 중요시설물 출입자 보안검색을 강화했다.

 

김창학·이호준기자 ch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