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보수단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에 진보·보수 시민단체들은 이번 사건이 남북통일 문제에 큰 변수가 된다는데 공감한 반면, 정부의 조문단 파견 여부를 두고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김 국방위원장 조문을 둘러싼 남남 갈등의 재발이 우려되고 있다.
대한민국 나라사랑협의회와 상이군경회 경기도지부는 19일 “북한이 이제는 평화통일에 앞장서야 할 때”라고 밝히며 조문에 대해서는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라이트코리아 역시“정부는 북한에 조문단을 보낼 생각은 추호도 하지 말고 북한의 오판과 도발에 대비해 철저한 안보태세를 갖춰야 한다”고 밝혔으며, 한국자유총연맹은 “조문은 신중히 검토돼야 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의 개혁·개방을 앞당기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진보단체들은 조문에 대해서 찬성의 입장을 보였다.
진보성향의 참여연대는 “조의를 표한다”며 “김 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은 남북 관계뿐 아니라 한반도 주변정세를 격랑에 빠져들게 할 충격적인 소식인 만큼 평화유지를 최우선 목표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회당도 “6자회담이 곧 재개될 것이란 기대가 높은 가운데 이 소식이 전해진 만큼 북한이 정국을 수습하고 한반도 평화를 위해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죽은사람에게는 일단 애도의 뜻을 표하는 동양의 윤리적 전통을 고려할 때 정부가 공식적인 애도의 뜻을 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촉구했으며, 이재정 성공회대 석좌교수와 장용석 서울대 평화통일연구원 선임연구원도 이 입장에 공감했다.
한편 지난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 당시 정치계와 진보·보수시민단체 사이에서 조문 문제를 둘러싸고 국론분열 양상이 빚어진 바 있다.
오영탁기자 yto@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