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금융업계 ‘北 사이버테러’ 방지 총력

은행·카드·보험사, 정부 움직임 주시… 전산망 보호 비상체제 돌입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면서 도내 금융업계도 정부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20일 도내 금융업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사망 소식 이후 북한의 사이버테러 등 비군사적 도발 개연성이 우려된다는 정부의 발표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 등에 힘쓰고 있다.

 

이는 최근 해킹 등으로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김 위원장의 사망으로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 전산망 보호 강화 등 비상체제에 돌입했다는 것이 도내 금융업계의 설명이다.

 

국민은행은 긴급 상황에 대한 보고 상황과 비상연락망을 재구축하고 부도덕한 행사를 자제하는 한편 영업점 내 현금 경비를 강화하고 나섰다.

 

농협중앙회는 본점에서 별도로 전달한 지시사항은 없지만 도내 영업점에서는 개별적으로 사이버테러에 촉각을 세우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고객 응대에 성실히 임할 것을 요구했다.

 

신협은 지난 20일 자체적으로 구축한 전산 비상시스템에 따라 등록 USB 외 사용금지, 개인메일 승인제 등을 실시하고 업무에 신중을 기할 것을 지시했다.

 

특히 북한 개성공단에 지점을 두고 있는 우리은행은 공단 분위기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해 별다른 지침사항없이 정상영업을 진행 중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불안함을 보이는 대외적 시각이 오히려 공단에 동요를 일으켜 역반응을 보일 수 있다”며 “이번 사태를 지켜보며 차분히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수십만건의 고객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신용카드사와 보험사도 김 위원장의 사망 소식에 대비책을 마련하고 나섰다.

 

신한카드는 김 위원장의 사망에 따라 개인정보 유출을 우려하는 고객들을 위해 현금서비스, 카드론 이용정지 서비스 신청을 유도하고, LIG 손해보험은 고객 안심시키기와 전산팀 보호 업무 강화에 나서고 있다.

 

반면 은행, 신용카드사, 보험사 등을 거래하는 고객들은 지난 1994년 김일성 사망 당시와 달리 큰 동요없이 차분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장혜준기자 wshj222@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