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용예산·정부지원 부족, 中企는 21% 참여에 그쳐
경기도내 기업 5곳 가운데 4곳은 사회공헌을 나 몰라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경기복지재단에 따르면 재단이 지난 10월부터 도내 423개 기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회공헌 활동을 하고 있는 기업은 95곳으로 전체의 22% 수준에 불과했다.
조사 대상 가운데 임직원 1천명 이상의 대기업 6곳 모두 사회공헌 활동을 벌이고 있었으나 중소기업은 조사대상(417곳)의 21%(89곳)만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사회공헌 활동이 저조한 데 대해 기업들은 가용예산 부족(30%)과 정부지원 부족(28%), 정보 부족(24%), 전담인력 부족(12%), 회사 내 협조부족(4%)을 꼽았다.
사회공헌에 참여하는 기업의 비용은 연평균 3억1천만원으로 집계됐으며, 최저 30만원에서 최대 96억4천만원까지 사정에 따라 그 폭은 다양했다.
재원은 회사기부로 마련한다는 응답이 49%로 가장 많았고, CEO나 임원의 기부 27%, 사원의 기부 19%, 공익연계마케팅 2% 등의 순이었다.
사회공헌 활동 이유로는 사회적 책임 수행(44%), CEO의 의지(36%), 기업 이미지 개선(13%), 임직원 단합 기대(10%) 등을 들었다.
재단은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 장려를 위한 ‘우수 사회공헌 기업 포상제도’와 ‘우수 사회공헌 기업 인증제도’ 등의 도입을 도에 제안했다.
또한, ‘경기도 사회공헌의 날’을 지정해 사회공헌 우수기업을 격려하고, 금리우대 등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검토할 것을 요구했다.
재단 관계자는 “재원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이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전담조직을 신설해 체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jun@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