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한진 기부채납 부지 현행법상 감정평가로 예상가 크게 웃돌아 논의조차 못해
인천시의 북항 배후부지에 발광다이오드(LED) 복합단지 유치가 비싼 땅값 때문에 안갯속에 빠졌다.
29일 시에 따르면 오는 2013년 완공을 목표로 지난해부터 북항 배후부지 내 28만 991㎡에 수도권 등에 흩어져 있는 LED 관련 기업들을 모으는 LED 융합사업 협동화단지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시는 북항 배후부지가 수도권에 있는데다 항만·공항과 가깝고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꼽히는 LED 관련 기업 30여 곳이 모여 조합형태로 직접화되면 경쟁력이 있는 만큼 일자리 창출은 물론 4조 원대의 경제적 효과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비싼 땅값 때문에 첫 삽 뜨는 것조차 버거워하고 있다.
시가 전체 부지 중 8만 5천여㎡를 북항 배후부지 사업자인 한진중공업으로부터 기부채납 받아 이를 다시 LED 조합 측에 싸게 매각할 계획이지만 현행법상 감정평가를 해 비싸게 넘겨줘야 하기 때문이다.
나머지 20만㎡의 땅은 한진과 시가 맺은 ‘투자유치용지 등은 저렴한 가격으로 신속하게 공급되도록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은 협약에 따라 한진이 싼 가격으로 LED 조합 측에 넘기게 된다.
결국, 시는 한진으로부터 기부채납 받은 땅을 비싸게 팔아야 하고, 한진은 땅을 싸게 넘겨야 하는 이상한 모양새가 됐다.
현재 녹지에서 준공업지역으로 용도 변경되는 이 땅의 예상가는 3.3㎡당 329만6천원 수준이나 감정평가를 거치면 400만~500만 원대까지 올라갈 전망이다.
하지만, LED 조합은 다른 지역 산업단지 입지 요건 등과 비교해 3.3㎡당 200만 원대에 땅을 공급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지난주에 마무리될 것 같았던 북항 배후부지 개발사업자의 개발이익 산정문제가 어긋난데다 정확한 기부채납 토지 규모도 아직 정해지지 않아 후속 작업인 땅값에 대해서는 논의조차 못 하고 해를 넘기게 됐다.
시 관계자는 “기부채납 받은 땅을 가능한 싸게 공급해줘야 하는데, 현재로서 관련법을 모두 검토해봐도 뾰쪽한 방법이 없다”면서 “한진 측과 최대한 부지가격을 낮추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