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음걸이 보면 치매 예측할 수 있다

빨리 걷는 노인들, 치매 발병률 낮아

부모님이 혹 치매에 걸리거나 심장 발작을 일으키지 않으실지 걱정된다면 평소부모님의 걸음걸이를 유심히 관찰해 보는 게 좋을 듯하다. 걷는 속도와 쥐는 힘을보면 노후의 치매와 심장 발작 발병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보행속도나 악력은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것이어서 치매와 심장발작 예측에 도움이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보스턴 의료센터 연구팀은 평균 연령 62세의 노인 2400명의 보행속도와 악력,두뇌 상태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관찰한 결과 보행속도가 느린 사람들은 빨리 걷는이들에 비해 치매 발병률이 매우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이 11년간 이들을관찰한 결과 34명이 치매에 걸렸고 70명은 심장 발작을 일으켰는데 관찰을 시작할때 보행속도가 느렸던 사람들은 빨리 걷는 이들에 비해 치매 발병률이 1.5배 더 높았다.또 65세 이상 노인 중 악력이 센 사람들은 악력이 약한 사람들에 비해 심장 발작이일어날 확률이 4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같은 차이는 65세 미만의 연령대에서는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보행속도와 악력이 뇌의 용량, 기억력, 언어, 판단력의퇴화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를 이끈 보스턴 의료센터의 에리카 카마고 박사는 “왜 이 같은 상관관계가나타나는지는 아직 분명치 않지만 치매 예방에 하나의 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설명했다. 뉴욕 마이모니드 메디컬센터의 신경과장인 마셜 케일슨 박사는 이번 연구에대해 “최소한 치매와 심장 발작에 대한 조기 예측에 새로운 단서가 될 것”이라면서“좀 더 젊은 사람들을 상대로 조사를 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오는 4월 뉴올리언즈에서 열리는 ‘미국 신경학회(American Academyof Neurology, AAN)’ 연례 총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며 15일 헬스데이뉴스가 보도했다.

[관련기사]

바나나는녹색일 때, 감자는 차게 먹어라

아침에초콜릿, 살 빼는 데 오히려 도움

기억력멀쩡해도 잘 넘어지면"치매 초기"

치매 발병10년 전부터 뇌 쪼그라든다

‘한류대표가수 보아’...얼굴에 감춰진 비밀은

이무현 기자 (neo@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