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식품기업의 인수합병 관심 필요

WTO나 FTA를 통한 시장개방 확대 추세로 국내 식품시장에서 국내외 식품기업들의 경쟁이 심화되고, 이미 포화상태에 달한 국내 식품시장에서 우리 식품기업들이 성장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되고 있다.

 

지금부터라도 한국식품의 국내외시장 수요를 공고화할 수 있는 전략적 기반, 소비촉진 조성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우선 국가간 국경 없는 무한경쟁이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네슬레, 다농, 코카콜라 등 글로벌 식품기업과의 경쟁에서 국내 식품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해외진출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특히 한계에 달한 내수시장을 극복하고 글로벌 식품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국내 식품기업들이 해외기업 인수합병(M&A)를 통해 전략적으로 해외에 진출하고, 이를 통해 해외시장을 공략함으로써 새로운 신수요 신시장을 창출할 필요가 있다.

 

해외기업 인수합병(M&A)은 포화상태에 이른 내수 의존도를 낮추고 해외 판로를 용이하게 개척할 수 있는 주요 전략의 하나이다. 실제 글로벌 식품기업은 해외기업의 인수합병으로 성장해왔다.

 

매출액이 삼성전자와 비슷한 세계 1위 식품기업인 스위스 네슬레는 1983년 이후 193개의 해외기업을 M&A를 통해 인수했다. 프랑스의 세계적 유제품회사인 다농도 지난 20년 동안 81개 기업을 인수, 유럽의 대표적 식품기업으로 성장했다.

 

해외 기업에 대한 전략적 M&A는 잘만 하면 적은 재원으로 해외매출을 늘리고, 브랜드, 시너지 효과를 통해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빠르게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M&A로 해외판로 용이하게 개척

 

특히 국내 식품기업의 해외 M&A는 신규사업 참여에 소요되는 기간 및 투자비용의 절감, 외국기업의 선진기술 및 경영 노하우의 습득, 전문인력 및 기업의 대외신용 확보 등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물론 해외기업에 대한 전략적 인수합병이 핵심 사업에서 벗어난 경우 자금, 역량, 경영자의 관심이 분산돼 본업의 경쟁력이 오히려 약해질 수 있다는 단점과 위험 요인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미 국제경제가 글로벌화되면서 세계적으로 국경간 M&A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위와 같은 부정적인 측면은 해외 M&A시 고려하거나 해소할 과제이지 해외 M&A를 포기하거나 자제해야 할 이유가 될 수 없다.

 

해외 M&A는 외국에 이미 설립된 기업을 인수하는 것으로 초기 설립비용이 들지 않고 인력, 생산라인 등의 확장을 꾀할 수 있으며, 투자 후 조기에 정상조업이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싼 가격에 유망한 해외식품 기업의 매물이 많이 나오고 있어 우리 식품기업의 해외 M&A는 좋은 기회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기업 지원체계 구축 힘써야

 

일본의 유명 맥주·음료회사 아사이그룹은 최근 호주와 뉴질랜드의 음료회사를 인수해 오세아니아 시장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중국 식품기업 광명그룹도 2011년 호주 유제품 식품회사 마나센(Manassen)의 지분 75%를 인수하고 글로벌 식품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해외기업 M&A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식품기업과 일본과 중국 식품기업들의 공격적 해외 M&A 움직임은 한국 식품기업들에게도 큰 위협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우리 식품기업들도 해외신시장, 신수요 창출을 위해 전략적으로 해외식품기업 M&A에 나설 때다. 정부도 국내 기업들이 해외 M&A에 적극 나설 수 있도록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 해외기업 정보수집과 분석기능 강화, M&A 활성화를 위한 펀드 조성 등 더 많은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 나가야 할 것이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