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업기술원, 4년간 생태조사서 밝혀
연천, 파주 등 경기 북부 접경지에서 금개구리 등 멸종위기 동물이 대거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곤충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터 4년에 걸쳐 연천, 파주, 포천 등 서부 DMZ를 포함한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생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희귀동물인 금개구리 서식지를 발견했다고 4일 밝혔다.
우리나라 특산종인 금개구리는 환경부가 지정한 보호야생 동물로 멸종위기 2급 종이다.
주몽설화에서 금와왕으로 등장할 만큼 복과 행운을 상징하는 동물이기도 하다.
몸길이가 6㎝ 정도로 눈동자 언저리가 황금가루를 뿌려 놓은 듯하고 참개구리와 비슷하나 눈 뒤에서 꼬리까지 두 개의 금색 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암수 모두 울음주머니가 없는 금개구리는 저습지와 논 등지의 수중식물 위에서 일정한 면적의 세력권을 가지고 서식하며 주변 해충이나 잠자리 등 곤충을 잡아먹고 산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이밖에 왕은점표범나비, 애기뿔소똥구리 등 환경부 지정 멸종 위기 곤충 7종의 서식지를 밝혀냈으며 총 658종의 곤충을 경기북부 접경지에서 확인했다.
임재욱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다년간의 생태조사를 통해 경기북부 접경지가 생태적으로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생태환경의 지속적 모니터링, 멸종위기종에 대한 복원연구 등을 통해 DMZ 생태자원을 보존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