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의 도시이야기] 도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도시를 인간의 정주(定住) 생활의 연장으로 본다면 그 속성은 지극히 일상적이어야 한다. 도시라는 것이 인간 생활의 니즈에 대한 대응과 무리를 이루고 부대끼면서 살아가는 인간의 속성이 모여진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면에서 보면, 도시는 슐츠(C.N.Schultz)의 말처럼, 인간과 주변 환경과의 의미 있는 관계를 설정하는 초보적인 단계부터 시작하고 있었다.

 

역사 초기에 나타나는 도시들이 인간이 특정 지역에 머물러 사는데 필요한 공간과 그것들을 이어주는 길들이 모여 만들어지고 있음을 보면 지극히 인간적이면서 일상적이다. 주택에서도 잠자는 공간과 식사하는 공간 그리고 이것들을 지원하는 공간이 있듯이 이 당시 도시 또한 사적인 공간과 공적인 공간이 필요한 만큼 어우러져 있었고 그것들을 연결하는 임의적이고 일상적인 도로나 시장, 광장 등이 드문드문 도시공간을 채우고 있었다.

 

도시는 주택이나 건축의 확대판이었으며 이웃 간의 소통도 원시적이지만 지극히 근거리였다. 자연스럽게 주변과의 관계도 필요한 최소한의 의미만을 챙기면 그 뿐이었다. 이때까지 도시는 만들어지는 대상이었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인간과 주변 환경과의 의미 있는 관계는 조금 복잡해지기 시작한다. 의미 이외에 의도가 개입되었기 때문이다. 이것이 계획도시의 시작이었다.

 

신(神)에 대한 종교적 의도나 왕에 대한 정치적 의도가 서서히 도시에 모종의 질서를 부여하기 시작하더니만 도시 간의 전쟁이나 식민지 개척 등에 따른 신속한 이동이나 감시 및 관리 등의 군사적 의도가 도시에 격자형 도로나 정돈된 구획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사르곤 2세 같은 왕이나 제사장들은 그들의 의도대로 도시를 정리하기 시작하였으며 위계와 질서를 표방하면서 장방형의 반듯한 도시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역사상 최초의 도시계획가라 불리는 히포다무스(Hippodamus)가 밀레투스(Miletus/그림) 같은 그리스 반도의 도시에 그리드 패턴의 구획과 직선도로를 적용시켰던 것도 군사적 용이함과 토지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와 감시의 의도가 표현된 것이었으며 이는 곧 로마의 데쿠마누스와 카르도라는 강력한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하는 군사적 의도의 계획도시로 이어지고 있었다.

 

또한 종교라는 이데올로기와 원주민 통제라는 의도가 스페인의 식민지 계획도시로 나타나고 있으며 상업적인 효율의 극대화라는 의도가 중세 바스티드(bastide) 같은 계획적 도시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근대 이후의 도시 또한 합리와 기능이라는 의도를 내세우면서 직선도로와 바둑판같은 정형적인 도로망 속에 필요한 시설을 용케도 차곡차곡 집어넣고 있었다.

 

만들어진 도시가 어느 새인가 만든 도시가 되어버린 셈이다. 우리의 일상도 어느새 구획된 번지 내에서 조용히 숨죽이고 있다. 몸을 부대끼고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공간도 그만큼 제한적이다. 아무래도 아직까지는 의도(意圖)가 의미(意味)를 이기는 모양이다.

 

김영훈 대진대 건축공학과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