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물가안정 기여 음식점·이미용업 공개모집 자영업자들 “재료비·임대료 다 오르는데…” 가격동결에 부담… 일선 시·군 신청건수 저조
경기도가 물가안정을 위해 음식점, 이·미용업, 세탁업 등 개인서비스업을 대상으로 ‘착한가격 업소’를 공개모집하고 있지만 업소들의 참여 저조로 난항을 겪고 있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착한가격 업소는 가격수준이 지역 평균보다 낮거나 동결·인하 등으로 개인서비스요금 가격안정에 기여한 개인서비스업소를 말한다.
도는 지난해 지정한 237개소에서 상반기 중 전체 개인서비스업소의 1% 수준인 1천60개소로 확대키로 하고 다음달 10일까지 희망업소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현지실사와 심의를 거쳐 최종 선정할 방침이다.
착한가격 업소로 지정되면 지정서와 표찰을 교부받고 대출금리 감면, 보증수수료 우대 등 인센티브와 홍보활동을 지원받게 된다.
하지만 현재 일선 시·군에서는 예상보다 신청이 저조해 용인시와 화성시 등 상당수 시·군의 신청건수가 10건 미만에 불과하다.
특히 하남시의 경우 신청자가 전무해 쓰레기봉투 지원 등 별도의 인센티브를 만들어 홍보 중이며 180개소가 목표인 성남시는 현재 20여건밖에 신청이 들어오지 않아 목표를 채우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참여가 부족한 이유는 자영업주들이 경제여건에 관계없이 가격을 통제받아야 한다는 것에 적잖은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화성에서 백반집을 운영하는 P씨(58)는 “재료비, 인건비, 임대료 등 오르지 않은 것이 없고 앞으로 얼마나 더 오를지도 모르는데 착한가격 업소가 되면 무조건 음식값을 동결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인센티브 받는 것보다 당장에 적자 안 나는 일이 더 시급하다. 업소만 쥐어짠다고 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또 미용협회 등 직능단체도 미용재료나 시설, 서비스에 따라 가격이 크게 달라지는 만큼 저렴한 가격의 업소를 선정해 혜택을 주는 데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시·군 관계자는 “자발적인 신청이 저조해 소비자들이나 협조가 잘 되는 직능단체를 중심으로 추천을 받을 예정”이라며 “가령 무이자 3년 거치 상환 자금지원과 같은 피부에 와 닿는 실질적인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