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지역 9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김포시민사회단체연합이 최근 4·11총선에서 특정 정당 후보를 시민후보로 추대한다며 지지하고 나섰다.
시민운동이란 시민들이 양심과 마음속에 인식하고 있지만, 행동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가장 보편적인 가치에 동참하도록 스스로 실천하며 계몽활동을 벌이는 것이 일반적인 의미다. 환경운동, 장애인복지 등 시민복지운동, 반전·평화운동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시민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가장 중요한 열쇠는 시민의 지지다. 시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면 그건 죽은 시민운동이요, 그 운동을 이끄는 시민단체는 존립의 의미가 없다.
그런데 시민사회의 가장 보편적인 가치 달성을 위해 여론을 형성하고 시민의 동참을 독려해야 할 시민단체들이 특정후보 지지라는 방법으로 정치판에 뛰어들었다. 정치판에 뛰어들 수는 있지만, 지역사회에 필요한 보편적 가치를 위한 주장을 펼쳐야 하고 그것은 모든 후보에게 해당돼야 하며 그에 반하는 후보는 낙천, 낙선운동으로 전개돼야 한다.
그러나 김포시민사회단체연합은 기자회견을 자청해 위험스럽게도 특정 후보의 지지를 선언했다. 기자회견 내용은 더욱 우려스럽다. 시민이 안고 있는 지역문제를 들고 나와야 할 시민단체가 ‘MB정권 심판’을 운운하며 ‘제2금융권 도산’, ‘남북관계 파탄’, ‘4대 강 삽질’ 등을 외쳤다. 마치 야당 중앙당 대변인이 발표하는 성명서를 방불케 했다.
시민단체가 정치판에 뛰어들 때 가장 경계해야 하는 점은 비민주성과 관료화, 감시의 자율성이다. 시민단체는 선출직 공직자에 대해 날카로운 감시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정치인과 함께 시민권익을 위해 공감대를 가질 수 있지만 타협할 수는 없다. 특정후보를 지지하고 그가 잘못할 때 김포시민사회단체연합은 이런 것들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오염된 정치판을 정화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은 ‘건전한 시민세력’이다. 시민과 국민으로부터 지지받는 시민단체의 역할만이 혼탁한 정치판으로 하여금 반성하게 할 수 있다. 김포시민사회단체연합은 스스로 ‘건전한 시민세력’이 아님을 선언한 꼴이 됐다.
양 형 찬 김포 주재 차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