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이통사-MVNO 사업자 간 번호이동 가능 방통위, 이동통신재판매 서비스 활성화 발표
방송통신위원회가 기존 이동통신사의 요금제보다 20~30% 저렴한 이동통신재판매(MVNO) 서비스의 활성화에 나서면서 통신비 부담을 줄이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일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방통위는 지난 29일 ‘이동통신 재판매 서비스 활성화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동통신재판매는 SKT, KT, LG유플러스와 같은 기존 네트워크운영사업자의 통신망 설비를 임대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현재 CJ헬로비전, KCT(한국케이블텔레콤), 온세텔레콤 등 20여개 업체가 사업 중이다.
방통위의 이번 계획에는 이같은 MVNO 사용자도 이달부터 최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이동통신사들이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와 국제로밍, 와이파이존 등도 점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전에는 MVNO는 이통사가 6개월 전에 출시했던 단말기만 보급할 수 있었고, 이통사의 동의 없이는 삼성전자나 LG전자 등 제조사로부터 단말기를 받을 수 없었다.
이와 함께 방통위는 시장초기 MVNO 사업자의 비용부담을 완화하고 수익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3년간 한시적으로 전파사용료 면제를 추진하고, 오는 6월에는 모든 유형의 MVNO 사업자와 기존 이통사간 번호이동이 가능하도록 관련 제도를 개선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기존 3곳의 이통사만 이용해야 했던 소비자들에게는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특히 MVNO는 기존 이통사와 통화품질은 동일하면서 도매가로 망을 빌리기 때문에 요금이 20~30% 저렴해 이통사의 각종 서비스를 포기하고 통신비를 줄이고자 하는 이용자들에게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은 가입비 무료에 기본요금도 기존 이통사의 절반 값이며 CJ헬로비전의 ‘USIM 스마트플러스30’ 요금제는 월 3만원에 음성통화 200분, 문자 350건, 데이터 500MB를 제공해 기존 요금제 대비 약 32%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통위 관계자는 “신규 사업자가 늘고 이통사와의 경쟁이 촉진돼 통신비 인하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