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개방에 원산지 위반 사례 급증…소비자들 먹거리정보 부족 ‘불안 증폭’
FTA 등 시장 개방 확대로 수입 농산물이 증가하고 수입산을 국산으로 둔갑시키는 사례도 잇따라 발생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정보는 여전히 부족해 먹거리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 성남·하남·광주사무소는 2010년산 중국산 쌀과 2011년산 국산 쌀 430여t(6억3천만원 상당)을 7대 3의 비율로 섞어 국내산 쌀 포대에 담아 판매한 혐의로 최모씨(45)를 구속송치했다고 24일 밝혔다.
원산지와 생산년도를 거짓표시한 쌀이 수도권 일대에서 판매되면서 실제 소비자가 입은 피해는 최소 4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지난 20일에는 수원시 A음식점이 중국산 배추김치를 씻어서 쌈용으로 제공하면서 국내산 배추라고 표시하다 품관원에 적발됐으며 18일에는 구리시 도매시장의 B업체가 중국산 마늘을 판매하면서 원산지를 한국으로 표시해 표시변경 처분을 받았다. 지난 12일에는 미국산 쇠고기를 국내산으로 표시한 안산의 C고깃집이 시정명령을 받기도 했다.
이처럼 원산지 위반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소비자가 사전에 원산지를 구분하거나 사후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원산지 표시 위반정보를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와 식품 안전정보 사이트 등에 공표하고 있지만 이를 제대로 인지하고 있는 소비자는 드물며 수입 농산물과 국산 농산물을 구분하는 방법도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라는 것이다.
수원시에 거주하는 주부 서모씨(54)는 “꼼꼼히 살펴보면 국산과 수입산을 구별할 수 있다고 하던데 솔직히 잘 모르겠다”며 “표기에 의존해 구입할 수밖에 없는데 그마저도 위반 사례가 많아 믿고 먹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관계자는 “FTA 등으로 원산지 표시를 위반하는 사례가 늘 것으로 보고 24시간 감시체제를 구축하고 있다”며 “단속 인원을 확대하고 조사횟수를 늘리는 한편 대 국민 홍보도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