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사태 원인은 금융당국 정책실패”

저축銀 잇단 퇴출 ‘신뢰 추락’ 금융당국 정책실패 비난 봇물

계열사 예금인출사태 없어

제3차 저축은행 구조조정으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뒤 첫 영업일을 맞은 가운데 저축은행 사태의 원인이 금융당국의 정책실패라는 비난이 봇물처럼 쏟아졌다.

7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의 솔로몬·한국·미래·한주 등 저축은행 4곳에 대한 영업정지 처분에 따라 이들 4개 저축은행이 이날부터 문을 닫으면서 전국 93개점(본점 기준)만 영업 중이다.

한국저축은행의 계열사인 수원지역 K 저축은행은 이날 오후 2시가 될 때까지 손에 꼽을 정도의 고객만 은행을 찾으면서 한산한 분위기였다.

뱅크런에 대한 우려로 은행 입구에 ‘3차례의 구조조정을 피하면서, 우량 저축은행으로 검증됐다’는 안내문을 붙여놓았으나, 저축은행 영업정지 직전에 평소의 10배 안팎의 예금인출이 발생했던 것과는 달리 예금인출액도 늘지 않았다.

인근 A 저축은행, S 저축은행을 비롯해 성남 H 저축은행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고객들이 1, 2차 구조조정을 거치며 학습효과가 있어 당장의 뱅크런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저축은행에 대한 불신이 깊어진 만큼 장기적으로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처럼 대형 저축은행의 연이은 퇴출에 저축은행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금융당국의 정책실패에 대한 비판이 잇따랐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저축은행이 위험한 수익사업을 벌일 수 있도록 권한을 주는 정책을 펼친 것이 잘못”이라며 “금융감독 담당자에 대한 조사와 책임 추궁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저축은행 규제완화를 통해 얻은 이점이 있는데다, 똑같은 규정하에 정상적으로 영업하는 저축은행이 있음에 따라 정책실패라고는 볼 수 없다”며 “저축은행에 대한 일괄 경영진단은 일단락한 만큼 앞으로 통상적인 감독을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지역 소재 저축은행은 18곳으로 이번 구조조정 해당 영업소는 없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