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지자체 관리 허술로 창고 전락에 위치 조차 파악 못해
광주지역 민방위 대피시설이 지자체의 허술한 관리로 창고로 전락한 것도 모자라 담당 공무원조차 시설 위치를 찾지 못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10일 광주시와 주민 등에 따르면 현재 광주시의 민방위 대피시설은 자치단체 소유 건축물 6개소와 공공시설 7개소, 민간시설 86개소 등 총 99개소로 총 56만680명을 수용하도록 지정돼 있다.
민방위 대피시설 지정 기준은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 지하층과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등으로, 이들 시설은 안전성에 따라 1~3등급 660㎡이상, 4등급은 60㎡이상 등 4개 등급으로 분류돼 수용 인원이 정해진다.
그러나 관리가 허술한 탓에 물건이 가득찬 물류창고가 대피시설로 지정돼 있는가 하면 일부 시설은 이미 문을 닫아 상호가 변경된 곳까지 있어 대규모 재난·재해 발생시 인명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시는 수년전 대피시설을 지정한 뒤 건물 안전성 변화에 따른 지정 변경은 커녕 한차례의 점검도 하지 않아 일부 시설의 위치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시의 민방위 대피시설로 지정돼 있는 다방 4곳은 이미 다른 곳으로 이전하거나 폐업해 흔적조차 찾기 어려운 상태였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시설내 비상물품 구비를 기대하는 것 역시 무리다.
시설 중 일부에는 안내·유도표지판이 붙어 있지 않거나 초·성냥·플래시 등 비상물품이 전혀 구비돼 있지 않았으며, 주민들 역시 해당 건물이 대피소로 지정돼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허다했다.
시민 K씨(55)는 “대피시설은 적의 공습은 물론 재난·재해 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지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작 시민들은 들어본 적조차 없는 경우가 많다”며 “최근 동일본 지진 등 각종 재난·재해와 안보 여건 변화로 대피시설의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재정비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대피소에 대한 관리는 각 읍·면·동으로부터 자료를 받아 관리하고 있다” 며 “빠른 시간안에 민간시설에 대한 전체 점검을 벌여 시민안전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