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요구대로 입장 선회 대선 앞두고 ‘표 의식’ 지적
인천시가 최근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과 제3연륙교 선 착공 등 주요 현안 사업을 주민 요구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는 가운데 정치적 민심 달래기 정책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23일 시에 따르면 최근 서울지하철 7호선을 서구 석남동에서 청라국제도시까지 연장하는 6개 대안을 마련해 국토해양부에 예비타당성 검토해 줄 것을 요청했다.
사업비가 많이 들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보다 인천도시철도 2호선을 청라까지 지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방침을 최근 바꾼 것이다.
하지만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사업은 B/C(비용대편익)와 AHP(정책적종합분석) 모두 정부의 투융자심사대상 기준치인 1에 못미치는 0.5와 0.52에 각각 그쳐 시의 입장 변화만으로는 큰 의미가 없다.
이에 대해 주변에서는 각종 개발사업 지연으로 악화일로에 있는 청라지구를 비롯한 서구 지역 민심이 6개월 앞으로 다가온 대선과 장기적으로 2014년 지방선거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민주통합당 내부에서도 지난 19대 총선 결과 청라 등 서구 지역에서 표를 많이 잃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대선에 부담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시는 또 제3연륙교 착공을 놓고 국토부, 민자사업자와의 협상이 늦어지자 독단적으로 행정 절차를 밟는 등 강행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이 역시도 국토부의 사전 합의 없이는 불가능하다. 결국 다음 정권에서나 협상의 실마리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이지송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송영길 인천시장을 만나 “인천시의 제3연륙교 선 착공·후 협상 방침에 동의하고 동참하겠다”는 뜻을 전했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가 다음날 바로 LH 측이 “오해”라고 해명자료를 내는 바람에 전국적인 망신을 사기도 했다.
이 때문에 시 주변에서조차 제3연륙교 조기착공을 요청하는 민심이 들끓자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이지송 표 제스처’를 이용했다는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청라까지 인천도시철도 2호선을 지선으로 연결하면 배차간격에 문제가 생기고 향후 청라지구 개발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라며 “인천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사안인 만큼 여유를 갖고 방법을 찾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