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돌고있는 후진국병 7년간 외면

환자 매년 증가세 불구 재정난 이유 예산편성 안해

결핵협회 인천지부도 예산 빠듯해 우선 순위 제외

결핵환자가 매년 늘고 있는 가운데 인천지역 중학교 2·3학년 학생들은 결핵 검진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인천시와 대한결핵협회 인천지부에 따르면 시는 결핵 예방을 목적으로 대한결핵협회와 함께 매년 중·고교생을 대상으로 결핵 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국내 결핵환자가 늘고 있어 중·고교생 때부터 검진을 정례적으로 실시해 예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많기 때문이다.

학교보건법에 따라 중1학년과 고1학년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의무적으로 연 1회씩 결핵 검진을 실시하고, 고2·3학년은 인천시교육청이 연 1회씩 결핵 검진을 하고 있다.

하지만 중2·3학년은 학교보건법에 결핵 검진 대상자로 지정돼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시는 시비로 대한결핵협회와 함께 중2·3학년을 대상으로 결핵검진을 실시해 왔으나 지난 2006년부터 올해까지 7년 동안 재정사정이 어렵다는 이유로 예산을 편성하지 않아 결핵검진이 중단됐다.

인천지역 중2·3학년은 7만여명 가량 된다.

대한결핵협회 인천지회도 예산이 빠듯해 중2·3학년에 대한 검진계획을 별도로 세우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올해부터 결핵 발병률이 높은 여대생에 대한 검진을 강화하라는 지침을 내린 탓에 우선순위에서 제외된 것이다.

결핵협회 인천지회 관계자는 “결핵협회는 학생, 소외계층, 여대생 등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검진을 실시하고 있어서 예산이 빠듯하다”며 “중2·3학년에 대한 결핵 검진은 시예산이 확보되지 않는 한 일정을 잡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매년 결핵환자가 늘고 있는 만큼 국민 건강 보호 차원에서 중·고교생 전원을 대상으로 결핵 검진을 실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보건복지부 통계를 보면 국내 결핵환자는 2008년 3만4천157명, 2009년 3만5천845명, 2010년 3만6천305명으로 매년 늘고 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중학생들은 쉽게 병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매년 결핵 검진을 실시할 필요가 있지만 예산 확보가 어려워 안정적인 검진을 약속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정부나 대한결핵협회에 도움을 요청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