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 소득 겨우 400만원… 농민의 한숨

도내 농가 ‘소득 양극화’ 브레이크가 없다 “돈없고 땅없으면 농사도 못해요…”

소작농, 비싼 임대료에 재료비·인건비 ‘껑충’…한해 ‘쥐꼬리 수입’

농가 상위 20%, 하위 20%의 ‘12.1배 소득’…‘부익부빈익빈’ 심화

여주에서 1만3천여㎡(4천여평) 땅에 콩과 논농사를 짓는 농민 P씨(56)는 연간 순이익 400만원을 채 올리지 못하고 있다.

3년 전 현재의 10배 규모로 농사를 지어온 P씨는 토지 임대료를 비롯해 재료비, 인건비 등 각종 비용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농사규모를 줄였지만,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3.3㎡ 당 1천300원 안팎의 임대료 부담을 줄이려 농기계가 들어갈 수 없는 땅을 얻으면서 임대료를 절반 가까이 줄이고 외부 인력은 전혀 쓰지 않고 있음에도 월 100만원을 벌어들이지 못하기 때문.

결국, P씨는 지난해부터 오전과 저녁에만 농사를 짓고 낮에는 농약 판매를 하면서 생계를 이어가고 있다.

P씨는 “농촌에서 돈을 벌려면 규모가 크거나 자기 땅이 있거나 자본금이 풍부해 시설을 지어야 하는데 이런 사람이 얼마나 되겠느냐”며 “20년 농사지어도 영세농은 결국 빚더미에 앉아 다른 일을 찾아다녀야 하는 실정으로, 농사짓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남양주에서 채소 유통법인을 만들어 농사짓는 S씨(60)는 지난해 2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며 20억원의 순이익을 벌어들였다. 자본금을 바탕으로 유통업을 시작했고 물량을 두루 확보하면서 고소득을 올린 것. S씨는 올해 재투자를 통해 순이익을 늘릴 방침이다.

이처럼 농촌사회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해지면서 상·하위 소득격차가 12배를 넘어선 등 농가의 부익부 빈익빈이 심각한 실정이다.

3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0년 농가소득 상위 20% 계층의 연평균 소득은 8천7만4천원으로 하위 20% 계층의 연평균 소득 662만원의 12.1배에 달하면서 2005년 9.6배보다 크게 증가했다. 특히 같은 해 도시가구의 소득격차가 5.8배에 그치면서 농가의 소득계층 간 양극화가 상대적으로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농업계는 규모의 경제에 기반을 두고 대규모 및 최첨단 농가 위주의 정책을 펴면서 농가의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경기도연맹 관계자는 “갈수록 고령농, 소농 등의 영세농민이 농사할 수 있는 기반을 잃어가는 상황”이라며 “반값비료값, 반값농기계 등 소농지원정책이 따로 있어야 하지만 ‘농업 죽이기’ 정책을 펴는 마당에 이는 언감생심인 형편”이라고 말했다.

성보경기자 boccu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