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에 사람냄새가 사라진다

농경연, 2010년 기준 ‘20가구↓부락’ 3천91개… 2005년比 1천개 이상↑

자매결연·체험관광 등 도농교류 ‘소외’ 소득 열악해 인구유출 지속 전망

농어촌 인구 감소세가 최근 둔화하고 있지만 20가구 미만인 ‘과소화마을’은 오히려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어촌의 과소화 마을 실태와 정책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농어촌 인구는 지난 2010년 875만8천명으로 2005년 876만4만명보다 다소 줄었지만 귀농·귀촌인구가 증가하면서 감소세는 과거보다 약해졌다.

이 가운데 오지마을을 중심으로 과소·공동화 현상은 급격히 악화했다.

2010년 기준으로 과소화마을은 3천91개로 전체 농어촌 마을 3만6천496개의 8.5%로 집계됐다. 2005년 2천48개(5.7%)에서 5년 만에 무려 1천개 이상 늘어난 것이다.

과소화마을은 대도시 주변을 제외한 농어촌 전체로 확산하고 있다.

2005년 과소화 마을이 한 개 이상 분포한 읍·면이 전체 읍·면의 약 47%인 661곳이었으나 2010년에는 전체의 63%인 884곳으로 늘어났다.

과소화마을 증가세는 면 단위 농어촌에서 두드러져 과소화 마을의 59.1%인 1천827곳이 면 단위에 있다.

또 읍·면 소재지에서 멀어질수록 더 많아 소재지에서 차량으로 20분 이상 걸리는 마을의 16.2%가 과소화마을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과소화마을이 자매결연, 체험관광, 농수산물 직거래, 음식물 판매·숙박 등 도농교류에서 소외됐다는 것이다. 농어촌 마을의 약 20%가 도농교류에 참여했으나 과소화마을의 참여율은 절반 수준인 11.2%에 그쳤다.

농수산물 판매나 농어촌관광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마을 단위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갖춘 비율도 3.2%로 일반 마을보다 매우 낮다. 영농조합, 농업회사, 작목반 등 생산자조직의 구성 비율 역시 25.8%로 일반 마을 42.4%보다 훨씬 저조하다. 이 때문에 과소화마을의 상당수는 소득 여건이 열악해 인구 유출이 지속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주인 연구위원은 “개별 마을 차원에서 해법을 찾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복수 마을을 연계해 공동체 기능을 확충하고 삶의 질 향상 정책을 충실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