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수수료율 적용 체계 ‘전면 개편’ 연매출 2억↓‘영세 가맹점’ 우대

금융위, 대형마트 0.2~0.3%p↑

신용카드 수수료율 체계가 전면 개편돼 214만 가맹점이 연간 약 9천억원의 요율 인하 혜택을 볼 전망이다.

대형 가맹점에 대해선 우대수수료율 적용이 금지된 채 수수료율이 오른다.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여신금융협회는 4일 이런 내용의 ‘신(新)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체계’를 올해부터 적용한다고 밝혔다.

수수료율 체계 개편의 효과로 신용카드 가맹점의 평균 수수료율은 2.1%에서 1.9%로 낮아진다. 인하 혜택을 보는 곳은 전체 224만 가맹점의 96%인 214만 곳이다.

여신협회는 카드업계의 수수료 수익이 연간 8천739억원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214만 가맹점이 축소된 수수료 수익을 나눠 갖는 셈이다.

연매출이 2억원을 밑돌아 영세가맹점으로 분류되면 1.8%에서 1.5%로 낮춰진 우대수수료율이 적용된다. 현재 이런 가맹점은 152만개다.

연매출이 1천억원을 넘는 대형가맹점 234개 등 1만7천개 가맹점(전체의 1%)은 현재 평균 1.7%인 수수료율이 0.2~0.3%포인트 인상된다.

수수료율 인하와 더불어 수수료율 적용 체계도 바뀐다. 1978년 업종별 요율 체계가 도입된 지 35년 만이다.

금융위는 같은 업종에 매출액이 비슷한데도 수수료율이 천차만별이던 관행을 없애려고 카드사가 요율을 책정할 때 객관적 자료와 합당한 비용을 반영토록 했다. 카드사가 특정 가맹점에 도움이 되는 경품행사 등 마케팅을 했다면 그 비용은 해당 가맹점의 수수료율에 적용토록 하는 ‘수익자 부담’ 원칙도 제시했다.

수수료율 체계 개편으로 가맹점별 수수료율 편차는 1.5~4.5%(최대 3%포인트)에서 1.5~2.7%(최대 1.2%포인트)로 좁혀지게 됐다.

이선호기자 lshgo@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