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가 경기북부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정책과제’세미나 구조혁신 통해 지역간 협력강화·봉제산업 육성 대안 제시
“섬유산업 관세인하, 혜택 큰 품목으로 전환해야 한다”
한국은행 경기본부 김현희 과장은 5일 경기도북부청사에서 열린 ‘FTA가 경기북부 섬유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과제’세미나에서 “FTA발효에 따라 섬유산업의 구조혁신을 통한 국제 경쟁력을 꾸준히 높여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는 이상훈 박사(경기개발연구원)가 ‘경기북부 섬유산업 현황과 특징’을, 김현희 과장이 ‘섬유산업 관련 FTA의 주요내용 및 영향과 정책과제’를 발표했다.
지정토론자로는 김기동 인천본부세관 자유무역협정 1과장, 김주신 경기중소기업북부지원센터 섬유산업팀장, 박훈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염규배 한국섬유산업연합회 FTA지원센터장 등 4명이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김 과장은 “섬유산업 FTA발효에 따른 경기북부 섬유산업의 수출증대 효과가 단기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된다”며 “그러나 경기북부 섬유산업에 대한 다양한 정책이 더해질 경우 수출증대 효과가 점차 확대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김 과장은 FTA 발효에 따른 경기북부 섬유산업의 대응방안으로 ▲면화 등 수입원재료 역내조달 지원 역내 원재료 공급부족 품목에 대한 예외 활동 확대 ▲섬유업체에 대한 컨설팅 지원 확대 ▲미국 자바시장 등 해외 마케팅 지원확대 등을 제시했다.
특히 그는 구조혁신을 통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역간 협력강화, 봉제산업 육성 등을 통한 섬유산업의 수직계열화 확대, 관세인하 혜택이 큰 품목으로의 생산 전환, 고부가가치 제품개발, 환경인증 등 비관세 무역장벽 극복 등을 강조했다.
이에 앞서 이상훈 박사는 경기북부 섬유산업의 특징으로 편조제품과 염색·가공 특화, 규모의 영세성과 입지 기반 취약, 벤더 의존형 중간제품 생산 및 개도국 수출구조, 단기 납기·다품종·소량의 생산구조 등을 꼽았다.
한편, 지정토론자들은 섬유산업 생산·수출, 고용을 비롯한 한·미 FTA, 한·EU FTA 발효에 따른 관세양허, 원산지 기준 원칙, FTA활용을 제약하는 요인 등에 대해 격론을 벌였다. 조종화 도균형발전국장은 “논의된 사안 중 정책 반영이 가능한 사안은 섬유산업발전계획에 반영해 추진할 것”이라며 “업계에 대한 교육 및 홍보, 제도 개선이 필요한 사항은 관련부서 및 기관과 협조해 북부지역 섬유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창학·구예리 기자 ch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