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광복절 경축사 ‘위안부 문제’ 첫 언급… 연일 日강공
이명박 대통령은 15일 “일본의 위안부 동원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반하는 행위”라며 일본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67회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양국 차원을 넘어 전시 여성 인권문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일본은 우리의 가까운 이웃이자, 체제적 가치를 공유하는 우방이며, 미래를 함께 열어가야 할 중요한 동반자”라면서도 “과거사에 얽힌 사슬이 한일 양국뿐만이 아니라 동북아의 미래를 향한 발걸음을 지체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자 한다”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한다”며 “우리도 이웃나라들과 국제사회에 대해 적극적으로 포용하고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어 “그것이 세계중심국가의 일원으로 성장한 우리가 글로벌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발전시켜 가기 위해 갖춰야 할 성숙한 자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정치는 임기가 있지만, 경제는 임기가 없다”면서 “남은 임기 동안 ‘경제 회생’과 ‘민생 안정’을 국정의 최우선 순위에 두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유로존 재정위기에서 시작된 글로벌 경제위기는 생각보다 심각한 상황”이라며 “모든 나라에서 경제 성장률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으며,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도 예외일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오늘 당면한 글로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 혼자의 힘만으로 부족하다”며 “어려울때 일수록 기업인은 투자와 고용을 늘리고 근로자도 사회적 공감을 얻기 어려운 정치적 파업을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대북정책과 관련, 이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는 남북은 물론 6자 회담의 합의일 뿐만 아니라, 안보리 결의에 따른 국제적 의무로서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며 “앞으로 정부는 상생 공영의 길을 여는 노력에 더해 통일 준비도 착실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창의적 발상이 필요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지혜와 포용적 협력정신이 있어야 한다”며 “국토는 작아도 국격은 큰 나라, 그런 나라를 만드는 것이 우리 국민과 저에게 맡겨진 소명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