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계 ‘동물복지’ 바람 부는데… “비용·판로 해결안돼” 농가 주춤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전국 27곳 중 경기도 3곳 그쳐

 생산량 줄고 단가는 올라… 수도권에선 ‘땅값’ 걱정까지

친환경 사육환경을 조성하고 가축의 고통을 줄여주는 ‘동물복지’가 축산업계의 화두로 떠올랐지만 비용과 판로 등의 문제로 아직 경기지역의 농가들은 참여를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에 따르면 지난 3월부터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는 인도적으로 동물을 사육하는 농장에 대해 국가에서 인증하고, 인증농장에서 생산되는 축산물에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마크’를 표시하는 제도다. 내년에는 돼지, 2014년에는 육계, 2015년에는 한우와 젖소로 확대 시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현재 인증을 받은 산란계 농가는 전국 27곳으로 경기도는 여주 에덴농장, 평택 믿음농산, 안성 해샘찬 등 3곳에 그치고 있다.

이처럼 인증 실적이 저조한 이유는 인증절차가 까다롭고 투자비용 만큼 소득을 올리기가 쉽지 않아 농가들이 신청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입식출하현황, 청소 및 소독내용 등의 기록을 2년 이상 보관해야 하며 폐쇄형 케이지에서 사육할 수 없고 사육밀도와 조명 등도 일정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또 동물복지 축사를 운영할 경우 계란의 품질은 좋아지지만 기존 케이지 방식보다 생산량이 줄어들고 단가도 올라가기 때문에 판로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특히 기존 사육방식보다 넓은 땅이 필요하기 때문에 땅값이 비싼 수도권 농가에서는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화성에서 양계장을 운영하는 이모씨(55·여)는 “동물복지농장이 닭에게 좋기야 하겠지만 일단 시설을 개보수해야 하고 한정된 공간 안에서 가능한 한 많은 닭을 키워야 돈이 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신청 계획이 없다”며 “아직 인증농가에 대한 인센티브도 없어 인증농장이 좀 더 늘어날 때까지 지켜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관계자는 “동물복지농장에 대한 농가들의 문의가 꾸준히 들어오고 있지만 여러 여건상 실제 신청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 않다”며 “내년이나 내후년부터 시설자금과 축산직불금을 지원하고 홍보도 단계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