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주자들은 왜 인천의 마음을 몰라줄까

대선 빅3 마음에 인천은 없나…

AG지원 특별법 등 ‘검토·회피·유보’  시민 질의서 답변 ‘기대 이하’ 실망감

인천 시민들의 기대치와 달리 인천지역 현안과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AG)에 대한 대선 주자들의 관심도가 냉랭하다.

인천시 재정위기 비상대책 범시민협의회(협의회)는 31일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대선 후보들에게 보냈던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성공 개최와 인천시 재정위기 극복에 대한 인천시민 질의서’의 답변서를 공개했다.

협의회는 지난달 9일 당시 여론조사 지지율이 10%를 넘어선 대선 후보 3인방에게 인천AG 등 지원 특별법에 대한 입장을 물었으며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민주통합당 이해찬 대표와 면담을 하고 인천시민 183만 명의 서명부를 전달했다.

협의회는 답변서를 ‘기대 이하’라고 평가했다. 원론적인 언급만 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는 것이다.

박 후보 캠프는 인천AG 특별법에 대해 “지방정부가 대규모 국제행사를 치르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중앙정부의 지원을 확대하겠다”며 “인천AG 특별법은 국가재정운용과 지역 균형발전 측면을 고려해 대선 공약 여부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을 보내왔다.

문 후보 캠프는 “인천AG 특별법 연내 처리 방침을 지지한다”며 “민주통합당 의원들과 함께 인천AG 특별법이 국회에서 통과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단, 대선 공약화와 관련해서는 “연내 특별법이 처리되도록 하겠다”며 직접적인 언급을 회피했다.

안 후보 캠프는 “아직 지역공약을 검토하는 단계”라며 “인천시의 재정위기를 해결하고 인천AG을 성공적으로 개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답을 유보했다.

이에 대해 협의회는 박 후보의 답변에 ‘보통’, 문 후보의 답변에는 ‘낙제’, 안 후보의 답변에는 ‘보류’라는 점수를 매겼다.

특히 협의회는 후보 3명 가광데 유일하게 인천AG 서구 주경기장을 방문해 200만 서명운동에 동참한 문 후보가 대선 공약화 질문에 즉답을 피한 것에 실망감을 표했다.

이에 앞서 민주통합당 이해찬 대표 면담에서도 이 대표가 “인천AG을 평창올림픽 수준으로 지원하는 것은 어렵다. 인천의 재정자립도가 70%에 달하는데 교부금을 지원하는 것도 안 된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협의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대선 주자들이 인천AG에 대한 대선 공약화 여부를 결론 내리지 않고 원론적인 답변만 내놓으며 책임을 회피하려고 한다”며 “후보 간의 차이는 있지만, 인천시민의 기대와 염원에는 한참 못 미치는 답변들”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 인천시와 협의회는 빠르면 이달 초 제3차 여야정협의체를 열어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