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 교육환경 개선에 향후 5년간 ‘2천억’ 투입

시교육청, 교육발전종합계획 발표… 예산확보·지자체 협조 관건

인천 원도심(구도심) 지역의 낙후된 교육환경과 교육복지를 개선하기 위해 향후 5년간 2천억여원이 투입된다.

하지만, 교육재정이 열악한 상황에서 자체 예산 확보는 물론 인천시 등 지자체의 협조가 어느 정도 이뤄질 지가 관건이다.

인천시교육청은 중·동·남구 등 원도심지역에 내년부터 5년간 2천29억원을 투입하는 내용의 교육발전종합계획을 수립, 7일 발표했다.

이호근 학교설립기획단장은 “원도심지역의 교사·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교육여건 실태와 개선 방안을 조사해 교육발전계획을 세웠다”며 “교육여건 개선, 교육환경 개선, 교육복지 실현 등 3개 분야 16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여건 개선 사업은 연구학교 지정 확대, 우수 교원 배치, 일반고 기숙사 건립·자율형 공립고 전환, 기초학력 보장, 스마트교육 모델학교 지정 등이다.

또 교육환경 개선은 융합 인재교육용 과학교실 구축, 특성화고 실습실 현대화, 급식시설 리모델링 등이 추진되며 교육복지 사업으로는 초등 돌봄 교실 확대, 교육복지학교 우선 지정, 전문상담사 배치 등이다.

하지만, 이 같은 사업을 추진할 재원 확보 방안이 현재로서는 불투명하다. 시교육청은 당장 내년도 예산에 241억원을 반영하고 2014년부터 매년 440억여원을 마련해야 할 처지다.

특히 세입예산이 뻔한 상황에서 교육청 자체적으로 재원 확보가 쉽지 않아 인천시와 각 군·구의 사업비 보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관련, 시교육청 관계자는 “우선 내년도 본예산에 205억원 반영이 가능해 이에 맞춰 내년 사업계획을 세웠다”며 “원도심 교육발전은 교육청과 지자체가 힘을 합쳐야 가능한 것으로 유관기관들의 사업비 지원을 최대한 끌어내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은 송도, 청라, 영종 경제자유구역 등 신도시 개발 등으로 학교 신설 수요가 늘고 있지만, 원도심지역은 공동화로 인해 학교 간 교육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박혜숙기자 phs@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