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마스터 플랜 ‘스마트 한국’ 만든다

정보통신 기반 경제의 핵심 정부, 산ㆍ학ㆍ연 연구 적극지원

정부는 정보통신(IT) 기반 경제를 움직일 21세기의 새로운 원유로 불리는 ‘빅데이터(중요한 자료)’ 강국 진입을 위해 공동인프라 구축, 산·학·연 공동연구개발 등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28일 청와대에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행정안전부,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 등과 공동으로, ‘스마트 국가 구현을 위한 빅데이터 마스터 플랜’을 이명박 대통령에게 이같이 보고했다.

마스터 플랜을 보면, 정부는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공동인프라를 정부 내에 구축하고, 대학에 관련 과목도 개설하는 등 산ㆍ학ㆍ연 공동연구개발 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공공데이터 개방의 폭을 넓히기 위한 법령 제정을 추진하고, 빅데이터 기술개발 로드맵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오는 2017년까지 빅데이터 강국으로 도약할 방침이다.

‘빅데이터’ 활용 방안으로는 범죄발생 장소의 예측, 자연재해 조기 감지, 시간 예측 등 3개 부문이다.

정부는 이들 3개 과제를 조기 선정해 내년부터 우선 추진하며, 오는 2017년까지 16개 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부처 내 다양한 정보를 통합해 국민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며, 빅데이터 공유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대책도 마련하기로 했다.

빅데이터는 SNS 등을 통해 축적되고 있는 대용량의 정보를 뜻하는 용어로, 구글·애플·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들 사이에서 IT 기반 경제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21세기 원유’로 주목받고 있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