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입지 가시화땐 인천 해양·수산산업 등 약화 지역 이기주의 아닌 국가 미래 발전방향 고려해야
새로 출범할 해양수산부 청사를 서로 가져오려는 인천과 부산의 입장이 팽팽히 맞선 가운데(2012년 12월 4일자 7면) 인천지역의 정치권과 항만업계가 부산 이전설을 반대하고 나섰다.
민주통합당 인천시당은 성명을 통해 “해양·수산 업무의 전문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해수부 부활을 환영하지만, 부산 이전설에 대해서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7일 밝혔다.
민주당 인천시당은 “해수부의 부산 입지가 가시화할 경우 가뜩이나 중앙정부로부터 소외됐던 인천 해양·수산산업이 크게 약화될 것”이라며 “그동안 추진해 온 인천항의 국가 중심항만 건설에도 차질이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인천 항만업계도 해수부의 부산 이전 계획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인천 항만업계에서는 인천 신항 건설, 인천 내항 재개발 사업 등 인천항의 각종 현안이 부산·광양항의 현안에 비해 뒷순위로 밀리며 홀대를 받고 있다는 인식이 강하다.
이런 상황에서 해수부가 부산에 들어서면 부산, 광양, 인천항 등 3대 항만을 축으로 하는 트라이포트 발전전략이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며 해수부의 부산행을 반대하고 있다.
이귀복 인천항발전협의회 회장은 “해수부 입지는 지역 이기주의가 아닌 국가 미래 발전 방향을 고려해 결정해야 할 사안”이라며 “굳이 항만도시에 해수부를 둬야 한다면 서울정부청사, 세종정부청사와 지리적으로 인접한 인천시에 두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인천과 부산의 해수부 유치 입장이 팽팽히 맞선 가운데 김경재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국민대통합 수석부위원장이 해수부를 전남에 유치하는 방안을 공론화하겠다고 밝혀 해수부 유치 경쟁이 지역 간 갈등으로 비화할 조짐도 보이고 있다.
김창수기자 cs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