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25일 경호실장을 비서실로부터 분리해 장관급으로 하기로 했으며, 신설되는 국가안보실도 대통령을 직접 보좌하며 실장을 장관급으로 하기로 했다.
이에따라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는 비서실·국가안보실·경호실 등 3실 체제로 개편되며, 그동안 밝혔던 ‘청와대 슬림화’ 원칙과는 달리 장관급 실장 자리가 현재 1개에서 3개로 늘어나게 됐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이날 국무총리실과 대통령실 조직 개편을 추가로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윤 대변인은 외교안보수석과 국가안보실의 기능 배분과 관련, “외교안보수석은 국방외교통일 문제에 관한 현안 업무를 중심으로 대통령의 지시사항을 점검하는 등 대통령의 국가안보정책을 보좌하며 다른 수석실과 업무 협조를 하게 된다”면서 “국가안보실은 중장기적 안보 전략을 수립함과 동시에 국가 위기관리 기능을 수행케 된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조직개편에 따라 청와대는 비서실과 국가안보실, 경호실이 각각 대통령에게 보고하는 체계를 갖추게 됐다.
하지만 이는 인수위가 지난 21일 1차 청와대 조직 개편을 발표하면서 “무엇보다도 불필요한 예산의 낭비를 줄이고, 행정부처와 청와대 조직이 본연의 업무를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도록 청와대 조직 체제를 일원화하고 비서실의 기능을 통합하려는 의지를 담았다”고 밝힌 것과는 상반된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한편 인수위는 국무총리실 조직 개편과 관련, 국무총리를 책임지고 보좌할 수 있도록 차관급에 국무총리 비서실장을 두기로 했으며, 현재의 국무총리실은 국무조정실로 명칭을 변경하고 현재와 같이 차장 두 명을 두기로 했다.
김재민 기자 jm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