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주민설명회 “불산 누출은 예고된 인재… 민·관합동조사를”
“작업자 부주의보다 삼성 안전관리시스템에 문제”
주민들 “사고 후 어지럼증ㆍ구토 증상있다” 주장도
삼성전자 반도체 화성공장 불산 누출 사망사고의 은폐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 시민환경단체들이 사고 현장 등 공장 내부에 대한 민관합동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화성환경운동연합과 반올림 등 시민환경단체들은 지난 2일 화성시 향납읍 노작홍사용문학관에서 열린 주민설명회에서 이번 사고는 작업자의 안전부주의가 아닌 삼성전자의 안전관리시스템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정수 시민환경연구소 부소장은 “누출 당시 경고음이 울렸음에도 삼성전자의 자체 소방관리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았다”며 “이런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작업자들의 안전 부주의로 인한 사고보다는 안전관리 시스템으로 인한 사고”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녹색기업으로 선정된 후 자율적으로 유독화학물질을 관리해 온 삼성은 이제 관리설명서를 재정비하고 민관합동조사를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설명회에 참석한 일부 주민들도 사고 발생 이후 어지럼증과 구토 증상이 일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K씨(45)는 “사고 이후 나는 물론이고, 아이들까지 어지럼증과 구토 증세를 보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가운게 경찰은 숨진 박명석씨(35)의 병원 진료기록 확보를 위해 병원에 대해 4일 압수수색영장을 집행할 계획이다.
대상은 박씨가 사고 직후 이송된 화성 동탄성심병원과 사망직전까지 치료를 받은 서울 한강성심병원 등 2곳이며, 사고 당시 불산가스에 노출돼 치료를 받고 있는 부상자 4명에 대한 진료일지도 포함됐다.
경찰은 박씨를 포함한 작업자 5명의 진료기록 등을 토대로 박씨의 사인을 밝히고 사고 후 조치 등이 적절했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STI서비스 측에 대한 조사를 마친 경찰은 지난 주말 삼성전자 안전관리팀장(전무이사) 등 4~5명에 대해 강도높은 조사를 이어갔다.
경찰이 지금껏 조사를 마친 삼성전자와 STI서비스 관계자는 33명이다.
또 한강유역환경청이 사고 당시 측정한 불산 누출량, 지자체의 화성공장 점검내용 등을 확인하기 위해 유관기관 관련부서도 조사할 방침이다.
한편 경기도의회도 이번 사고와 관련해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불산 누출사고 진상 규명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고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 사고원인과 피해규모를 정확히 규명하고 재발 방지대책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안영국ㆍ양휘모기자 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