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속 침착한 주민들 “단호하게 대처해야”

주민들, 충격·불안 속에도… 큰 동요 없었다
“국제사회 연계 강경하게 대처해야” 목소리 높아

북한이 3차 핵실험을 강행하면서 경기ㆍ인천지역 주민들은 충격과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지만, 다행히 큰 동요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다수의 주민들이 북한에 대한 햇볕정책을 비판하는 등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에는 국제사회와 연계해 단호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그동안 정부가 북한에 대해 각종 지원책을 쏟아 부으면서도 정작 북한이 자행하고 있는 군사위협 등을 고려할 시 실리는 챙기지 못했다는 것으로, 주민들은 이번 핵실험으로 지역경제 등에 타격을 받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모습이다.

북한이 12일 오전 11시57분께 함경북도 길주군에서 3차 핵실험을 강행한 것과 관련, 박노직 대한노인회 경기도연합회 총무국장은 “북한의 3차 핵실험은 퍼주기식 대북정책의 당연한 결과”라며 “앞으로는 북한의 대응 등에 따라 상식적인 차원에서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대학생 하동훈씨(22)는 “1ㆍ2차 핵실험에 이어 3차 핵실험 역시 이미 예견된 일”이라며 “(3차 핵실험 강행은)퍼주기식 정책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앞으로는 대북 강경책으로 일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수원지역 한 경찰 관계자도 “김대중 정부부터 이어져온 대북 햇볕정책의 결과가 이렇게 나타난 것”이라며 “앞으로는 무조건적인 지원을 삼가고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새터민 이승리씨(가명)는 “북한에 있을 때는 ‘조국을 지켜야 한다’는 사상에 핵실험을 응원했지만, 이제와 북한의 행동을 보면 백성을 다 굶기면서까지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은 것이 사실”이라면서 “지금도 명백한 도발인 핵실험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을 북한에 있는 동포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대다수의 주민들이 북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일부는 북한의 핵실험이 끼칠 사회적 현상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인천시 강화군 양도면 건평리 어촌계원 강석천씨(65)는 “남북관계가 좋아야 맘 편히 조업을 하는데 최근의 상황이 너무 안타깝다”면서 “해군과 해경의 경비 강화로 아직은 정상조업을 하고 있지만, 혹시 ‘군사 대결로 이어지지나 않을까’하는 불안한 마음을 떨칠 수 없다”고 말했다.

지난해 아들을 입대시킨 김혜숙씨(50ㆍ여ㆍ수원)도 “아들이 군에 입대한 지 1년도 되지 않았는데 너무 우려스럽다”며 가슴을 졸였다.

옹진군 연평도에서 수산물 가공 일을 하는 윤장혁씨(30)도 “가뜩이나 지난해 꽃게 수확량이 적어 힘들었는데, 올해는 아예 조업이 중단되는 게 아닌지 모르겠다”면서 불안감을 떨처내지 못했다.

지방종합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