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친’ 축산물값 하락 ‘덮친’ 바이오연료 의무화

축산농 ‘사료값 대란’ 최악의 불황

업체들, 지난달 4% 인상 이어 또 ‘들썩’…농가 “고객 외면”

‘신재생원료’ 의무 사용 법제화 추진에 경영난 가중 우려

최근 주요 사료업체들이 사료가격을 인상할 방침인 가운데 사료값 폭등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오연료 사용 의무화까지 추진되면서 경기지역 축산농가들이 시름하고 있다.

13일 축산농가와 관련단체들에 따르면 대한제분, CJ제일제당, 두산 등 주요 사료업체들이 연말과 지난달에 사료값을 4% 가량 올린 데 이어 또다시 인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체들은 국제곡물가가 지난해 대비 30% 가량 폭등했기 때문에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축산물 값 폭락으로 최악의 불황을 겪고 있는 축산농가들은 사료업체들이 농민의 등에 비수를 꽂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파주에서 돼지를 키우고 있는 최모씨(59)는 “애지중지 키운 돼지를 출하해도 사료비는커녕, 한 마리당 10만∼12만원의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고객을 외면한 채 혼자만 살겠다며 사료값을 인상하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여기에 최근 정부와 국회에서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해 석유정제업자 등에게 바이오연료 사용 의무화를 골자로 하는 ‘신재생원료 의무보급제도 법제화’를 추진해 농가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 바이오연료의 주원료가 사료용 작물인 옥수수, 사탕수수 등으로, 바이오연료 사용을 의무화할 경우 사료값 폭등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축산관련단체협의회 관계자는 “한해에 1천만t 이상의 식량과 사료곡물을 수입해 오는 우리나라에서 바이오 연료의 사용을 강제하는 것은 사료곡물의 가장 큰 소비자인 축산농민들의 부담을 가중시켜 국내 축산기반을 위태롭게 하는 것”이라며 “지금은 식량안보와 사료값 안정이 정책의 우선순위가 돼야 하는 만큼 법제화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