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통합학교 공사비 최소 40억 과다 책정"

인천경실련 등 기자회견, "증개축을 신축으로 적용탓"

인천시교육청이 연평초교를 헐고 다시 짓는 연평통합학교 공사비를 증·개축 대신 신축 단가를 적용해 예산이 과다 책정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연평초중고 통합교사동 신축 정상화 추진위원회와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노현경 시의원 등은 14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통합학교 공사가 바닥 기반시설이 남아 있는 만큼 ‘신축’이 아닌 ‘증·개축’에 속하며, 증·개축 단가를 적용하면 공사비가 최소 40여억 원 이상 줄어들 수 있어 공사비 산출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인천시교육청은 연평도 피격 이후 연평초교를 허물고 사업비 187억 원(공사비 170억 원)을 들여 초·중·고 통합학교를 건립하는 공사를 지난 2011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착공 당시 산출된 공사비는 신축 단가를 적용해 1㎡당 교사동 건축비 150만 1천 원, 조리실 142만 9천 원, 다목적강당 144만 원을 산출했다.

그러나 2013년 인천시 교육비특별회계 예산편성 기본지침에는 학교시설 증·개축은 1㎡당 교실은 72만 원, 신축은 128만 5천 원이며, 도서지역은 30% 할증하게 돼 있다.

특히 2011~2012년 비슷한 방식으로 기존 건물을 헐고 새로 지은 덕신고, 제일고, 명신여고도 ‘증·개축’으로 분류됐으며, 덕신고의 경우 ‘신축’ 단가를 적용했다가 담당 공무원 6명이 징계를 받고 증·개축 단가를 적용한 바 있다.

노 의원은 “교육청이 지난 11일 교육위 보고에서 건축법상 ‘증·개축’이 맞다고 답변한 바 있다”며 “학생 수 140여 명에 비해 187억 원은 지나치게 큰 비용인 만큼 산출 과정이 잘못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청 관계자는 “연평도 통합학교 공사는 ‘신축’으로 판단해 신축단가를 적용했다”며 “공사 단가 산출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