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기제’ 자칫 ‘사교육학기’ 우려

인천지역 교육계 벌써부터 “실효성에 의문”
섣부른 추진 도농ㆍ빈부간 교육격차만 심화

인천지역 교육계가 2016년부터 교육부가 도입기로 한 중학교 자유 학기제의 효율성에 우려를 제기하고 나섰다.

교육부는 28일 올해 2학기부터 자유 학기제 시범운영을 거쳐 오는 2016년 전면 도입하겠다는 내용의 ‘교육부문 국정과제 실천계획’을 발표했다.

자유 학기제가 실행되면 학교장 자율로 한 학기를 지정, 해당 학기 동안 시험부담을 줄이고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살릴 수 있는 진로체험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 인천지역 교육계는 정책적 고민 없이 섣부르게 도입하면 자칫 사교육만 조장되고 기대했던 교육적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성적으로 좌우되는 대입구조 속에서 이를 고려하지 않고 도입한다면 ‘자유학기제’가 ‘노는 학기’ 내지 ‘사교육 학기’로 변질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 자유학기를 활용할 네트워크가 다양한 도심지역과 달리 인프라가 부족한 강화군이나 옹진지역은 자유 학기제가 오히려 상대적 박탈감만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학부모 오영미씨(42)는 “교육부 방침대로라면 학교별 격차가 뻔할 것 같다”며 “잘 사는 집 아이들은 그 기간에 사교육으로 선행학습해 저만큼 앞서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인천교원단체총연합회 관계자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제도가 성공하려면 무작정 자율성만 줄 것이 아니라 시범운영기간 동안 가이드라인을 세우는 것은 물론 전반적인 교육과정과 연계해 고민해야 한다”며 “해당 학기만 딱 자유학기라면 그 앞뒤로는 똑같이 강의식 수업에 시달릴 텐데 부작용이 더 클 수 있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