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 ‘창조형 창업’ 대안 열악한 사업지원 환경 등 지적
창업기업 10곳 중 6곳이 3년 이내에 문을 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악한 창업환경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새정부가 창조경제를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운 만큼 창의성과 기술 혁신에 기반을 둔 창조형 창업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4일 발표한 ‘창조형 창업이 없다’는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초기 창업활동 비율은 2001년 28.9%에서 2012년 20.2%로 떨어졌다. 생존율도 낮아 신규사업자는 연간 100만여명에 달했지만 지난 2007~2011년 기준 절반 이상(58.6%)이 창업 3년 안에 폐업했다. 규모도 영세해 신규사업자의 90.8%가 1인 기업이었다.
창업의 질도 좋지 못했다. 금융서비스, 교육업 등 지식산업의 창업비중은 15.4%에 그쳤다. 전체 사업체 중 지식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기준 16.7%로 이는 미국(34.4%, 2007년)의 절반 수준이다. 특히 제조업 창업의 절반 가량(47.6%)은 저기술 분야에 몰렸다. 제조업 기술 수준별 창업 비중은 고기술 18.6%, 중기술 20.3%, 저기술 47.6%로 첨단기술로 창업하는 제조업체는 13.5%에 그쳤다.
열악한 창업 지원 환경과 창업 금융의 부족이 원인으로 지적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에 따르면 창조 기업을 지원하는 국내 벤처캐피탈 규모는 2009년 기준 GDP의 0.030% 수준으로 창업 국가로 잘 알려진 이스라엘의 GDP 대비 0.175%, 미국 0.088%에 비해 크게 낮았다.
조호정 선임연구원은 “국내 창업 환경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라도 폐업 이전 사전 신고제 도입 등 지원 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